'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선조 25)~98년에 2차례에 거친 일본의 조선침략전쟁 조선에 쳐들어온 일본군을 조선과 명(明)나라의 군사가 연합하여 물리친 전면적인 국제전쟁이었다. 임진년에 처음 발생했다 하여 보통 '임진왜란'이라고 하며, '7년전쟁'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1597년의 제2차 침략으로 일어.. 전쟁...../임진왜란 2013.09.26
각종 사료로 보는 칠천량해전 각종 사료로 보는 칠천량해전 ※ 《선조실록》 1597년 7월 22일 ※ “7월 15일 저녁 10시에 왜선 5~6척이 갑자기 소동을 일으키며 불을 질러 우리나라 전함 4척이 전부 타버렸고, 우리 여러 장수들은 황급하여 어쩔 줄을 몰라 하며 진을 벌리지 못했습니다. 그러던 중 닭이 울 무렵, 왜선이 헤.. 전쟁...../임진왜란 2013.07.19
전쟁 이후의 조선과 동아시아 명청교체 소용돌이, 또다른 전쟁이 싹트고… 누르하치(奴兒哈赤, 1559~1626)의 모습. 애초 명의 지배 아래 있던 누르하치는 1583년 거병한 이래 주변 여진족들을 복속시키면서 명의 견제를 받게 된다. 하지만 임진왜란이 일어나 명군이 조선에 참전하여 일본군과 싸우는 동안 그는 독립국가 .. 전쟁...../임진왜란 2013.06.20
마지막 전투, 그 후 선조의 의주 파천이 나라를 구했다고? 순신역전(舜臣力戰)의 모습. 광해군대 편찬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에 실린 이순신의 순국 장면. 이순신은 순천의 고니시 군을 구출하기 위해 달려온 시마즈 함대를 요격하다가 장렬히 순국한다. 그림에 묘사된 이순신의 .. 전쟁...../임진왜란 2013.06.20
강화 결렬과 정유재란 발발 명에 겁박당하고 일본에 손발을 묶이다 명의 신종황제(神宗皇帝)가 내린 책봉문(冊封文). 1596년 9월, 명 황제는 책봉사 양방형을 보내 오사카성에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일본 국왕으로 책봉했다. 황제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본의 강자로 떠오른 뒤 중국을 사모하여 내부(來附)했기 .. 전쟁...../임진왜란 2013.06.20
명과 일본 상인들 일본 상인, 조선인 원숭이처럼 목줄로 묶어…” 1597년 포위된 울산성의 모습. 조명연합군에게 포위된 울산성의 일본군들은 추위와 기갈에 시달렸다. 성안에 우물이 없어 바깥에 나아가 시체가 떠 있는 연못 물을 떠 와야 했고, 양식이 떨어져 종이를 씹고 흙을 끓여먹어야 하는 상황으로 .. 전쟁...../임진왜란 2013.06.20
명군의 패악질과 민폐 조선 고위신료들, 명군에게 곤장을 맞다 경남 창원시에 있는 웅천 왜성(왼쪽). 1593년 진주성 공격 이후 일본군은 웅천을 비롯한 남해안 각지에 성을 쌓고 장기주둔 태세에 들어갔다. 일본군이 철수하지 않고 명군도 싸울 의지 없이 그저 주둔만 하던 이 시기가 조선 백성들에게는 최악의 .. 전쟁...../임진왜란 2013.06.20
진주성의 비극 개 한마리 남기지 말고 죽여 없애라 진주성의 촉석루 모습.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는 두 차례의 격전이 벌어진다. 진주대첩이라 불리는 1592년의 1차 전투에서는 김시민 등의 분전으로 승리를 거두고 일본군의 진격을 막아내어 전라도를 지켜내는 데 성공했다. 1593년 일본군은 조·명 .. 전쟁...../임진왜란 2013.06.20
기만적 강화협상과 ‘가짜’ 시리즈 “명나라 황녀를 일본 천황 후궁으로 보내라” 행주산성의 전승 기념비. 행주산성은 한강 하류에 위치하여 서울과 강화도, 그리고 서해로 연결되는 전략 거점이었다. 1593년 전라도관찰사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이 일본군의 공격을 격퇴했던 역사적 장소이다. 이 싸움에서는 관군과 승군.. 전쟁...../임진왜란 2013.06.20
벽제전투와 강화협상 류성룡, 이여송의 바짓가랑이를 잡았으나… 명대 초기 명군 기마대의 모습. 명은 초기부터 몽골 등 북방 민족을 공격하거나 그들의 침략을 막기 위해 수많은 기마병을 유지했다. 벽제전투에 참전했던 이여송 휘하의 병력 또한 대부분 기마대였다. 이여송은 기마병만으로도 충분히 일본.. 전쟁...../임진왜란 2013.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