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 100장면 [30~40/100] 도서명 : 세계사 100장면 지은이 : 박은봉 출판사 : 가람기획 31. 유럽을 휩쓴 공포의 흑사병 -흑사병 창궐(14세기) *그때 우리 나라에서는- 1302년/충렬왕, 원을 방문하고 통혼관계 성립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문학작품으로 '데카메론'이란 소설이 있다. 이탈리아인 보카치오가 쓴 이 책은 무서..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6.03
세계사 100장면 [20~30/100] 도서명 : 세계사 100장면 지은이 : 박은봉 출판사 : 가람기획 21. 알라 앞에선 만인이 평등 -마호메트, 이슬람 교 창시(610년) *그때 우리 나라에서는- 624년/고구려 당에서 도교 전래 세계 4대 종교로 불교, 기독교, 유교, 이스람 교를 꼽는다. 그중 가장 늦게 창시된 것이 이슬람 교이다. 현재 ..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6.03
세계사 100장면 [10~20/100] 세계사 100장면 [10~20/100] 도서명 : 세계사 100장면 지은이 : 박은봉 출판사 : 가람기획 11. 한니발, 알프스를 넘다-포에니 전쟁 발발(기원전 264년) *그때 우리 나라에서는-기원전 209년/연, 제로부터 수 만호 이주 기원전 8세기, 이탈리아 반도 중부를 흐르고 있는 티베르 강 언덕에 로마라는 작..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6.03
세계사 100장면 [1~10/100] 도서명 : 세계사 100장면 지은이 : 박은봉 출판사 : 가람기획 글머리에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는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서기 2000년을 앞두고 그야말로 변신의 몸살을 앓고 있는 듯하다. 미국과 함께 세계 최강국을 자랑하던 소련이 갈가리 흩어졌는가 하면, 동독은 역사 저편으로 사라..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6.03
거대한 대포에 지나치게 집착했던 투르크인들 오스만 투르크는 군대에 대포를 받아들이는데, 이집트의 맘루크인들보다 더 유연했다. 그러나 오스만 투르크도 전통적으로 육박전과 기마 전술을 선호하고 기마병이 사회적으로 우월한 지위를 누리는 탓에 야전에서 쓰이는 야포를 받아들이는데 소극적이었다. 오스만 투르크는 기본적..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5.19
세계 의 정치가 20세기를 빛낸 열 명의 정치가들입니다. 1위 - 토머스 제퍼슨 (미국 1743~1826) 미국 건국에 공헌한 대통령. 교육자. 철학자. 건축가. 발명가. 대통령 재임시에 제퍼슨은 프랑스로부터 루이지애나를 사들여 국토를 두 배로 늘렸다. 그는 말년까지도 자유와 해방을 부르짖으며 자신의 이상을 꺽..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5.19
홀로코스트(Holocaust) (3) [미술대학 지망생] 1938년 3월 고향인 브라우나우 암 인을 방문한 히틀러를 시민들이 크게 환영하고 있다. 오스트리아의 서북방 브라우나우 암 인(Braunau am Inn)에서 태어난 아돌프 히틀러는 3살 때에 가족을 따라 독일 파싸우(Passau)로 이사 갔으며 5세 때에는 다시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으..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5.18
홀로코스트(Holocaust) (2) [독일의 총체적인 홀로코스트 추진] 히틀러의 나치가 집권하자 독일은 한데 뭉쳐서 유태인 말살을 위해 온갖 노력을 다 기울였다. 독일인들은 유태인들을 추방하고 학살하는 것이 독일 국민으로서의 의무라고 생각했다. 독일은 어느덧 ‘유태인 인종청소 국가’로 변하였다. 독일의 모..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5.18
홀로코스트(Holocaust) (1) 홀로코스트(Holocaust) - 쇼아(Shoah) [신에게 바치기 위해 태운 제물] 비엔나의 시내 중심가에 있는 유태광장(유덴플라츠). 광장 한가운데에는 쇼아(홀로코스트)에 의해 희생당한 오스트리아의 유태인들을 추모하는 기념비(네모난 조형물)가 있으며 오른쪽의 기념상은 독일의 사상가이며 시..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5.18
유태인에 대한 민족학살(Pogrom) (2) [현대의 포그럼](헵-헵 폭동) 헵-헵(Hep-Hep)이란 것은 19세기 초반, 독일에서 일어난 반유태인 폭동을 말한다. 1819년 8월 2일 뷔르츠부르크(W?rzburg)에서 비롯한 반유태인 폭동은 곧이어 다른 나라로도 번져 덴마크, 폴란드, 라트비아, 보헤미아(체코) 등지에서 비슷한 폭동으로 발전하였다. 수.. 역사 ,세계사/세계사 2013.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