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고왕야(蒙古王爺)의 지하보물을 찾아서...(II) 9 농회는 색복진이 바친 재물을 계획에 따라 처리한 후, 즉시 회의를 소집했다. 여러 사람이 자기의 의견을 얘기했다. 많은 사람들은 아직도 비교적 귀중한 물건을 내놓지 않았다. 역대제왕이 하사한 각종 물건과 문헌, 왕공가족이 수백년간 전해내려오고 집적한 기진이보와 거액의 자산..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몽고왕야(蒙古王爺)의 지하보물을 찾아서...(I) 1. 중국에는 많은 성이 있고, 모두 대대로 전해내려오는 장보(藏寶, 감춰진 보물)에 관한 전설이 있다. 신강에는 타클라마칸사막의 "대성(大城)"보물전설이 있고; 감숙에는 돌연 사라진 흑수국(黑水國)의 보물전설이 있고; 청해에는 마보방(馬步芳)이 황망하게 도망치기 전에 거액의 재산..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오병감(伍秉鑒)과 임칙서(林則徐)의 은원 세계최고부호 오병감의 마지막 인생 그는 일찌기 세계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람이었다. 2600만냥 백은의 가산이든, 3품벼슬이든 모두 그로 하여금 대청왕조와 서구열강의 틈에 끼어서 편안히 살 수 없도록 하였고, 더더구나 전쟁과 청나라의 몰락을 막을 수가 없었다. 2001년, 미국의 월스..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임칙서(林則徐)는 역사의 공신인가, 죄인인가? 청나라의 중국에 영향력이 있는 역사인물을 고르라면 아마도 금연공신(禁煙功臣) 임칙서 뿐일 것이다. 세계를 놓고 보더라도, 임칙서의 역사적 지위는 흔들릴 수가 없다. 그러나, 만일 문을 닫아걸고 말해보자. 임칙서를 중국인 자신의 역사에서 도대체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 이것은 ..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태평천국 인새(印璽)의 향방 태평천국시기에 천왕 홍수전(洪秀全)은 3개의 인새(印璽, 도장)를 새겼다: 금새(金璽), 옥새(玉璽), 목새(木璽). 이는 무상의 권위를 상징했다. 그중 금새, 옥새는 중요한 조서를 내릴 때 찍었고, 가볍게 사용되지 않았다. 금새(金璽): 이미 훼손되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홍수전의 금새는 ..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토마스 스탠튼: 중국을 향한 꿈이 깨어진 후... 18세기의 거의 미친듯한 중국열기로부터 19세기에 중국을 야만스럽고 낙후한 국가로 보기까지, 중국의 유럽에서의 이미지는 180도 바뀌게 된다. 만일 이 변화를 일으킨 전환점인 사건을 찾는다면, 아무런 의심없이 전영국 심지어 전 유럽이 크게 기대하였던 매카트니사신단의 중국방문사..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이육창(李毓昌): 청나라 최대의 원안 즉묵(卽墨) 이가영촌(李家營村)은 아주 유명한 곳이다. 이곳은 묘지기들이 대대로 살면서 번성한 작은 마을이다. 그들이 지키는 묘의 주인은 이육창(李毓昌)이라고 하는 사람이다. 옛날에 원안(寃案, 원통한 사건)은 아주 많지만, 그의 사건은 "양내무와 소백채"사건과 더불어 '청나라 4대..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아편전쟁의 또 다른 발발원인 아편전쟁이 중국에 거대한 재난을 가져왔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는 중국에 있어서 영원히 기억해야할 상처이다. 우리는 지금까지 임칙서(林則徐)가 광주에서 아편금지조치를 지나치게 과격하게 하여, 이 전쟁이 발발했다고 알고 있었다. 그러나, 청나라사람의 기록을 보면, 이번 ..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아편은 어떻게 약품에서 마약으로 바뀌었는가? 중국근대사 교과서들은 제1장에서 청나라가 아편전쟁에서 영국에 패배하였다고 소개하고 있지만, 아편이 중국에 전래된 역사에 대하여는 소개하지 않고 있다. 의분이 과학을 대체할 수는 없다. 단지 아편의 해독을 질책하는 것만으로는 아편이 어떻게 청나라의 부패과정을 가속화시킨 ..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
계유사변: 천리교의 자금성습격사건 청나라 가경18년(1813년) 구월 십오일, 북경에는 가경황제가 '한,당,송,명에도 일어난 적이 없었다'고 말해지는 계유사변이 발생한다. 이는 천리교(天理敎)의 수령인 임청(林淸)이 자금성을 습격한 사건이다. 먼저 천리교와 임청에 대하여 얘기해보기로 하자. 천리교는 청나라때 팔괘교(八..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