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17,18,19..송병준, 일본 수상과 '한국 병합' 가격 흥정..한국병탄에 투입된 경비는 3천만원뿐 17. 송병준, 일본 수상과 '한국 병합' 가격 흥정 한상일 | 최종편집 2009.11.25 13:14:17 17. 우치다 료헤이와 '反이토' 캠페인 일본 정계-언론계 "특단조치 필요한 시기 다가온다" 헤이그 사건이후 일본에서도 통감부의 유화정책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졌다. 겐요샤(玄洋社)나 고쿠류카이(黑龍..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13,14,15,16-왜놈정부가 꾸민 '천벌 받을 짓'..행정-사법권 장악, 군대 해체까지.."주권 완전 상실" 13. 병탄의 건널목 (1) 고종의 양위 한상일 | 최종편집 2009.10.31 06:56:07 일본 강경론자들, 이토의 점진정책 비판 을사강제조약이 병탄을 위한 구체적 행동의 첫 단계였다면, 고종의 양위와 이어서 강제로 조인된 정미7조약은 병탄의 기반을 완수한 단계라 할 수 있다. 이토는 통감으로 부임한..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9,10,11,12-'통감' 이토 히로부미 그리고 병탄의 주구 '일진회' 9. '통감' 이토 히로부미 한상일 | 최종편집 2009.09.29 10:00:28 한국 왕래 22차례..통감직 3년반 1906년 2월 1일 한국통감부가 문을 열었다. 이토 히로부미는 2월 20일 도쿄를 출발하여 이세(伊勢)신궁을 참배하고, 28일 시모노세키에서 군함[和泉]을 타고 현해탄을 건넜다. 3월 1일 부산에 도착하여 ..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4,5,6,7,8-정한론과 병탄의 첨병들 그리고 매국노..을사강제조약 4. 병탄의 첨병(A) 한상일 | 최종편집 2009.09.11 16:20:04 "국내의 패배를 대륙 웅비로 풀자" A. 대륙낭인(大陸浪人)과 한국 정한론을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은 서남전쟁(1877)에 참여했으나 패배했다. 그러나 그 패배가 그들이 품고 있는 한반도 지배와 대륙웅비의 꿈까지 빼앗아 가지는 못했다. ..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1,2,3..정한론-‘병탄’ 프로젝트의 출발점 1. '잠자는 나라'의 운명 한상일 | 최종편집 2009.08.27 10:17:22 연재를 시작하면서 8월은 우리 민족사에 뜻 깊은 달이다. 해방과 망국(亡國)이 8월과 함께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해방의 날을 늘 기리고 있다. 그러나 망국의 날은 기억조차 잘 못하고 있다. 지난날의 아픔을 다시 들추어내기..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고종황제와 조선의 말로 1862년 철종이 자식없이 죽자 대원군은 조대비와 공모하여 고종을 후계자로 만드는데 성공한다. 안동김씨를 타도하고 서원을 철폐시키는 등 일련의 개혁도 있었지만 1860년 북경이 연합군에 의 해 함락되고 함풍제(청의 제7대 황제)가 만주로 도망가자 조선은 공황상태에 빠지게 된다. 러..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11.27
광해군의 서글픈 최후. 광해군의 서글픈 최후. 조선의 광해군 [생애 1575년- 1641년, 재위 1608년- 1623년]은 1623년 3월 14일 새벽 황해도 평산 부사 이 귀와 경기도 장단 부사 이 서가 몰고 온 군사에게 어이없이 기습당해서 손 한 번 쓰지 못하고 왕위에서 제거되었다. 인조반정에 대해서 광해군의 대동법 강행이니 궁..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11.27
결론 --고구려 대 수·당 전쟁의 승리 요인 결론 1. 고구려 대 수·당 전쟁의 승리 요인 고구려 대 수·당 전쟁(高句麗對隋唐戰爭)은 고구려(高句麗)가 수 (隋)·당(唐) 양대제국의 무력침공에 맞서 전후 50여 년에 걸쳐 항 쟁을 전개한 미증유의 대전란이었다. 수는 중국의 오랜 분열시대를 종식시킨 대통일제국으로서의 막강 한 국..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7.05
제5장 고구려의 대 수·당 전쟁의 영향 제5장 고구려의 대 수·당 전쟁의 영향 1. 고구려에 미친 영향 환두대도의 복원된 모습입니다. 고구려는 중국대륙의 통일제국인 수(隋)로부터 네 차례에 걸쳐 서 침공을 받았으나 이를 모두 물리쳤다. 그리하여 이 고·수 전 쟁에서 군사강국인 수의 침공야욕을 좌절시키고 국권을 수호함..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7.05
제4장 고·당 전쟁 제4장 고·당 전쟁 1. 고·당 전쟁의 원인 1) 당의 대제국 건설 야망 동천왕때의 기록엔 약 5천기 정도의 개마무사가 운용 되었다고 합니다. 말을 탄 기병과 창과 방패를 휴대한 고구려 보병의 모습입니다. 환두대도의 복원된 모습입니다. 수제국 말기의 동란을 틈타서 군사를 일으킨 당 고..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