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고·당 전쟁의 배경 제3장 고·당 전쟁의 배경 1. 일반정세 1) 당의 건국 614년에 수가 고구려에 대한 제4차 침공을 단행하던 무렵부터 중국의 내전상황이 심화되어 수의 정국은 극도의 혼란에 휘말려 들어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혼란한 중국 내부의 정세를 틈타 북방 변경의 방어를 담당하고 있던 태원유수(..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7.05
제2장 고·수 전쟁 제2장 고·수 전쟁 1. 고·수 전쟁의 원인 1) 수의 대외정복정책 수(隋)가 6세기 말경에 중국을 통일하고 강력한 통일정권을 수립하자, 한족(漢族) 집단내부에 팽배한 패권주의가 동북아시아 지역으로 밀려오게 되었다. 수 문제(文帝)는 즉위 초부터 '북수남공정책(北守南攻政策)'을 추진하..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7.05
제1장 고·수 전쟁의 배경 제1장 고·수 전쟁의 배경 1. 일반정세 1) 동아시아의 정세 (1) 중국 대륙의 정세 창으로 접전을 벌이고 있는 개마무사. 중국 대륙에서는 5세기 초, 화북(華北)의 북위(北魏)와 강남(江南)의 송(宋)이 대립하 면서 150여 년간에 걸치는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가 개막되었다. 이로부터 남조(南..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7.05
고구려 대 수·당 전쟁의 특성 -서론 서론 1. 고구려 대 수·당 전쟁의 특성 고구려 대 수·당 전쟁(高句麗對隋唐戰爭) 은 고구려(高句麗)가 6세기 말부터 7세기 중반에 이르는 50여 년이라는 장기간에 걸쳐서 수(隋)의 4차(598, 612, 613, 614)와 당(唐)의 2차(645, 647)에 걸친 침공에 맞서 싸워 이를 격퇴시킨 동북아시아 역사상 최대..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7.05
망국군주 - 고종7 잃어버린 44년 자질 부족한 임금 오락가락 정치 행보 망국은 필연이었다 1905년(고종 42) 로제스트벤스키 제독이 이끄는 러시아 발틱함대는 아프리카 희망봉과 인도양을 거쳐 대한해협까지 오는 긴 항해 끝에 5월 27일 일본군과 마주쳤다. 전날 밤 군신(軍神) 이순신에게 승전을 비는 제사를 지낸 도고 헤..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6.19
망국군주 - 고종6 외세 의존의 한계 전제왕권 집착한 고종, 나라를 열강의 먹이로 내놓다 재위 31년(1894) 정월 고종은 낮잠을 자다가 광화문이 무너지는 꿈을 꾸고선 뒤숭숭했다. 고종은 그해에 동학을 진압하기 위해 청국에 파병을 요청했는데, 일본이 바라마지 않는 일이었다. 천진조약에 따라 청국이 파병하면 일본도 파..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6.19
망국군주 - 고종5 동학농민혁명 늘 개혁 반대편에 선 임금, 동학 막으려다 외세 침탈 자초 경상도 영천의 역술가 정환덕(鄭煥悳•1857~1944)은 광무 6년(1902)부터 시종원 시종으로 고종을 가까이에서 모셨다. 그는 남가몽(南柯夢) 에서 고종이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이후 불면증에 시달려 낮과 밤이 바뀐 생활을 했다고 전..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6.19
망국군주 - 고종⑤ 임오군란 공론화 없이 추진한 개화, 척사파 설득 못해 실패 * 수신사 김홍집의 행차. 온건개화파 김홍집은 1880년 일본에 다녀오면서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가지고 와 척사파의 공격 표적이 되었다 고종은 강화도조약 체결 20일 후인 재위 13년(1876) 2월 수신사(修信使) 김기수(金綺秀)를 일본에 파견했..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6.19
망국군주 - 고종3 불평등조약 개방에 집착한 고종, 일본의 침략 야욕에 말려들다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는 대원군이 내린 벼슬을 사양하면서 ‘만동묘(萬東廟:명나라 신종·의종의 사당) 복설(復設)’을 요구했다. 그 제자 면암(勉庵) 최익현(崔益鉉)이 고종 10년(1873) 11월 재차 올린 상소에서 첫 번째로 지적한 대..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6.19
망국군주 - 고종② 민생파탄 경복궁 중건은 왕조 붕괴 앞당긴 허영뿐인 대역사 대원군의 극적인 등장은 대왕대비 조씨와 대원군 사이의 정치적 밀약 때문만은 아니었다. 한 해 전인 철종 13년(1862) 2월 4일 경상도 단성(丹城)에서 농민들이 관아를 공격해 현감이 도주했고, 열흘 뒤에는 경상도 진주에서 농민들이 관아..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3.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