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의 출발 <군사편찬연구소가 2005년 분석한 북한군 남침계획> “북한의 남침계획에서 고속기동부대인 북한 제603모터사이클연대의 움직임을 특히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2005년 4월 말 서울 용산 국방부에서는 6ㆍ25전쟁 북한군 남침계획에 대한 브리핑이 열렸다. 군사편찬연구소의 남.. 전쟁...../한국전 2013.03.12
개 전 ‘화산이 폭발할 것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알지만 언제 터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전쟁은 마치 화산과도 같다. 땅속 깊은 곳에서 마그마가 끓어오르면 약한 지진이 일어나고 아황산가스가 새어 나와 동물들이 죽기도 한다. 이런 징조를 토대로 전문가들은 화산 폭발 가능성이 높다고 예.. 전쟁...../한국전 2013.03.12
피로 쓴 신화, 백마고지전투 6ㆍ25전쟁은 끝을 맺지 못한 전쟁입니다. 국토는 전쟁 이전처럼 계속 분단된 상태고, 북의 계속되는 도발로 인해 이전보다 더 팽팽히 대치중인 상태입니다. 정확하게 3년 1개월 2일이라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었던 6ㆍ25전쟁은 지금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3년이 넘.. 전쟁...../한국전 2013.03.12
전설로 남은 이야기, 장진호 전투 6ㆍ25전쟁 내내 열심히 싸우지 않았던 부대는 단 하나도 없습니다. 멋진 승리를 거둔 부대도 있지만 비참한 패배를 당한 부대도 있었고, 전선에서 치열하게 격전을 치룬 전투부대도 있지만 후방에서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묵묵히 지원 임무에 투입되던 부대도 있었습니다. 비록 국적과 단.. 전쟁...../한국전 2013.03.12
태극기가 보인다, 351고지 지원 작전 실패로 막을 내린 중공군의 6차 공세이후 전쟁은 소강상태를 유지하면서 휴전 시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기 위한 고지전으로 급격히 변모하였습니다. 그러다보니 지금까지 남북을 급격하게 오가며 있어왔던 기동전이나 대공세는 어느덧 사라졌고 좁고 험준한 산악지대에서 과도하다고 .. 전쟁...../한국전 2013.03.12
무적해병의 신화, 도솔산전투 학자마다 조금씩 견해가 다르기는 하지만 6ㆍ25전쟁 당시에 중공군의 대공세는 모두 7회에 걸쳐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중 휴전직전이던 1953년 7월에 금성천 일대에서 벌어져 휴전협상에서 주도권을 쥐려했던 7차 공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공세는 1950년 10월 참전한 이후 일정한.. 전쟁...../한국전 2013.03.12
집념으로 이룬 반전, 인천상륙작전 3년간 계속된 6ㆍ25전쟁의 초반기를 논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맥아더(Douglas MacArthur)입니다. 유엔의 권한을 위임받아 침략군을 저지하려 애썼던 그의 노고 덕분에 대한민국은 위기의 순간을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었는데, 특히 일거에 전세를 역전시켰던 인천상륙작전은 그의 .. 전쟁...../한국전 2013.03.12
조국을 수호한 피의 방어전, 낙동강지구전투 맥아더가 1950년 6월 29일 수원에 도착하여 처음 전선을 시찰하였을 때만 해도 침략자를 손쉽게 제압하여 전쟁을 금방 끝낼 수 있을 것이라 낙관적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스미스부대를 선두로 해서 후속하여 한반도에 건너온 미군 부대들이 처참하게 격파되어 나갔을 정도로 북한군의.. 전쟁...../한국전 2013.03.12
대한민국을 수호한 혈전, 춘천전투 1950년 6월 28일, 북한군은 남침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한 후 3일간 도심에서 지체하는 군사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행태를 보였습니다. 하염없이 무너지던 국군을 추격하러 한강을 건너지 않고, 3일간 공격을 멈춘 것은 6ㆍ25전쟁 중에 있었던 상당히 미스터리한 사건이었습니다. 붉은 새 세.. 전쟁...../한국전 2013.03.12
아쉬움으로 끝난 감격, 초산전투 1950년 10월, 차례대로 38선을 돌파한 국군과 유엔군은 인접부대와의 연결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누가 일등으로 한만국경에 도달하는가 하는 분위기에 휩쓸려 무제한의 진격 레이스를 펼쳤습니다. 미 해병 1사단처럼 신중하게 진격한 부대도 있기는 했지만, 하루라도 빨리 전쟁을 종결짓고.. 전쟁...../한국전 2013.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