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한론(征韓論)과 간도 정한론(征韓論)과 간도 한류포스 2014.10.20. 11:43 http://cafe.daum.net/hanryulove/5Qxi/12505 [특별기고]정한론(征韓論)과 간도 강정민 변호사 2014년 10월 20일 (월) 10:22:29 19세기 말 메이지 유신기의 일본은 조선에 수교를 요청하지만 쇄국정책을 고수하고 있던 조선은 이를 거절한다. 서양 오랑캐에게 ..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사형장의 살풍경..인간백정의 역사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사형장의 살풍경..인간백정의 역사 경향신문 | 사회에디터 | 입력 2014.12.02 11:45 "시골에서 집행하면 누가 알겠는가. 본보기를 위해 서울의 저잣거리에서 거열형에 처하고 사지를 각도로 조리돌려라." 1407년(태종 7년) 태종은 충청도 연산에서 내연남과 짜고 남편을 ..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이완용 보다 더 나쁜 인간 고종 이완용 보다 더 나쁜 인간 고종 뱌댜거 2015.03.13. 22:51 http://cafe.daum.net/hanryulove/5Qxi/12982 한때 국내 사학계에서 일부 학자들에 의해 고종을 훌륭한 임금으로 재탄생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과연 고종은 용군(庸君·어리석고 변변하지 못한 임금)이 아닌 성군(聖君)이었을까. 필자가 고종이 ..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임금 아닌 임금' 덕종스토리 '임금 아닌 임금' 덕종스토리 경향신문 | 경향신문 논설위원 | 입력 2015.04.08 14:14 | 수정 2015.04.09 09:59 최근 오랜만에 낭보가 들렸다. 문화재청이 미국 시애틀박물관이 소장중이던 '덕종어보'를 기증받았다는 소식이었다. 덕종어보는 종묘 영녕전 덕종실에 있다가 1943년 이후 언제인지는 모..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20,21-일본, 대한제국을 단돈 3000만엔에 사들이다..‘병탄’ 주역들의 행로 20. 일본, 대한제국을 단돈 3000만엔에 사들이다 한상일 | 최종편집 2009.12.23 00:02:36 20. 이토의 죽음과 병탄단행 한국병탄을 위해 일본 정부가 기다리던 ‘적당한 시기’가 드디어 도래했다.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Harbin)에서의 이토 히로부미의 죽음이 바로 그것이었다. 이토가 강조하..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17,18,19..송병준, 일본 수상과 '한국 병합' 가격 흥정..한국병탄에 투입된 경비는 3천만원뿐 17. 송병준, 일본 수상과 '한국 병합' 가격 흥정 한상일 | 최종편집 2009.11.25 13:14:17 17. 우치다 료헤이와 '反이토' 캠페인 일본 정계-언론계 "특단조치 필요한 시기 다가온다" 헤이그 사건이후 일본에서도 통감부의 유화정책에 대한 비판의 소리가 높아졌다. 겐요샤(玄洋社)나 고쿠류카이(黑龍..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13,14,15,16-왜놈정부가 꾸민 '천벌 받을 짓'..행정-사법권 장악, 군대 해체까지.."주권 완전 상실" 13. 병탄의 건널목 (1) 고종의 양위 한상일 | 최종편집 2009.10.31 06:56:07 일본 강경론자들, 이토의 점진정책 비판 을사강제조약이 병탄을 위한 구체적 행동의 첫 단계였다면, 고종의 양위와 이어서 강제로 조인된 정미7조약은 병탄의 기반을 완수한 단계라 할 수 있다. 이토는 통감으로 부임한..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9,10,11,12-'통감' 이토 히로부미 그리고 병탄의 주구 '일진회' 9. '통감' 이토 히로부미 한상일 | 최종편집 2009.09.29 10:00:28 한국 왕래 22차례..통감직 3년반 1906년 2월 1일 한국통감부가 문을 열었다. 이토 히로부미는 2월 20일 도쿄를 출발하여 이세(伊勢)신궁을 참배하고, 28일 시모노세키에서 군함[和泉]을 타고 현해탄을 건넜다. 3월 1일 부산에 도착하여 ..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4,5,6,7,8-정한론과 병탄의 첨병들 그리고 매국노..을사강제조약 4. 병탄의 첨병(A) 한상일 | 최종편집 2009.09.11 16:20:04 "국내의 패배를 대륙 웅비로 풀자" A. 대륙낭인(大陸浪人)과 한국 정한론을 지지하는 많은 사람들은 서남전쟁(1877)에 참여했으나 패배했다. 그러나 그 패배가 그들이 품고 있는 한반도 지배와 대륙웅비의 꿈까지 빼앗아 가지는 못했다. ..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
100년전의 한국에 가다 1,2,3..정한론-‘병탄’ 프로젝트의 출발점 1. '잠자는 나라'의 운명 한상일 | 최종편집 2009.08.27 10:17:22 연재를 시작하면서 8월은 우리 민족사에 뜻 깊은 달이다. 해방과 망국(亡國)이 8월과 함께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해방의 날을 늘 기리고 있다. 그러나 망국의 날은 기억조차 잘 못하고 있다. 지난날의 아픔을 다시 들추어내기.. 역사 ,세계사/우리 역사 이야기 2015.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