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반 4세, 차르로 등극(1547년)
이반 뇌제의 흉상
그의 통치는 흔히 전후반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얘기한다. 전반부에는 능력 있는 군주의 특성이 두드러지고, 후반부에는 폭군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그는 일관되게 토착귀족들에 대항하여 차르의 권력을 강하는 데 힘썼다.
1533년 이반 4세가 왕위에 오를 때 그의 나이는 겨우 3살이었다. 그는 예민하고 총명하고 조숙한 소년이었다. 이반은 일찍부터 읽는 것을 배워 눈에 띄는 것은 뭐든지 읽어댔다.
17살 때 이반이 친정에 나서기 전까지는 비엘스키 가와 슈이스키 가의 두 귀족가문이 번갈아가며 국정을 좌지우지했다. 그들은 공중 앞에서는 이반에게 경의를 표했으나 사적으로는 이반을 마치 '하인 다루듯' 했다. 음식도 옷도 제대로 주지 않았고, 이반 앞에서 방자한 태도로 다투기 일쑤였다. 살인과 처형, 체포와 투옥이 다반사로 행해졌다. 그러는 가운데 이반은 귀족들에 대한 증오심과 함께 혹독함과 잔인함을 키워갔다.
13살이 되자 이반은 용포를 입고 섭정을 맡은 비엘스키 가와 슈이스키 가의 회의를 주재하기 시작했다. 이때 뜻밖의 사건 하나가 일어난다. 한 회의석상에서 이반은 일을 잘못 처리하고 낭비를 했다고 중신들을 가볍게 나무랐다. 이로 인해 말다툼이 일어났다. 그때 갑자기 이반이 일어서서 섭정 중의 하나인 안드레이 슈이스키를 지적하며 그의 체포를 명했다. 모두들 우물쭈물하는 사이 안드레이가 도망치려고 하자, 평소에 이반이 신임하던 궁전의 개 사육관이 그를 곤봉으로 쳐 죽이고 말았다. 엉뚱한 결과를 낸 이 사건은 이반에게 유리한 상황을 조성해주어, 이후 이반의 왕권이 크게 강화됐다.
1547년, 17살의 나이로 이반은 정식으로 대관식을 가졌다. 이때 이반은 그에게 비잔틴식 기독교 군주의 이념을 가르쳐준 수도 대주교 마카리의 권유로, 대공 대신 '차르'라는 칭호를 공식으로 채택했다.
전에 할아버지 이반 3세가 차르를 칭한 적은 있지만 이 칭호로 제위에 오른 것은 그가 처음이었다. 3주일 후 그는 아나스타샤 로마노프와 결혼했다. 왕비의 가문인 로마노프 가는 명문으로서 이후 러시아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이반은 결혼에 앞서 사려 깊게 자신의 배필을 골랐다. 그의 선택은 결국 옳은 것으로 드러났다. 1660년 젊은 나이로 죽을 때까지 아나스타샤는 포악함을 숨기고 있던 이반의 가슴을 어루만지며 선정을 펴도록 돕는다.
이반 4세는 사족 출신인 알렉세이 아다셰프, 수도 대주교 마카리, 사제 실베스토르 등으로 구성된 '선발회의'의 조언을 받으며 정치했다. 통치 초기에는 중앙에서 파견된 지사의 지방 지배, 문벌을 중시한 인재등용 등에서 연유하는 폐단을 개혁에 초점을 두었다.
1549년, 이반 4세는 대귀족과 고위 성직자, 중앙과 지방의 고위관리, 사족 및 대상인의 대표로 구성된 '전국회의(젬스키 소보르)'를 소집했다. 전국회의는 정부가 정책을 설명하고 지지를 요청하는 실권 없는 일종의 신분제 의회였으나, 이후 참가 범주와 권한이 확대되면서 차르의 선출, 국내의 개혁, 전쟁과 강화 등의 중요정책을 심의하는 기관으로 부상한다.
이반 4세는 전국회의에서 대귀족의 횡포를 비난하고 개혁의지를 표방했으며, 새로운 법령 제정, 지방제도 개혁 등의 승인을 얻어냈다. 그중에서 지방제도의 개혁은 특기할 만하다. 개혁의 결과, 주민들이 중앙정부에 일정액의 세금을 바치는 지방에서는 중앙에서 지사를 임명, 파견하지 않고 자신들이 직접 관리를 선출할 수 있게 됐다. 그리고 지사들이 있는 곳에서도 지사들의 활동을 면밀히 조사하고 필요한 경우 지사를 탄핵할 수도 있는 보좌역을 선출할 수 있었다.
그와 더불어, 1551년 이후 몇 차례에 걸쳐 많은 주교가 참가하는 공의회(스토글라프 회의)를 열어 교회제도를 개혁하고 교회의 지위와 권한을 통제하려 했으나 그다지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1550년경에는 전국에서 선출된 천여 명의 사족에게 모스크바에 가까운 봉토와 중앙관청의 공직을 주어 사족층을 육성했다. 토착귀족 세력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한 조처였다. 그리고 군사개혁에도 관심을 기울여 포병을 증강시키고, 스트렐치, 즉 소총부대로 알려지는 상설 정규연대도 설치했다.
이반은 대외정책 면에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1552년 차르는 카잔 한국을 공략하고자 볼가 방면으로 출진했다. 카잔의 굳게 닫힌 성문 앞에 높이 15m 포대가 설치되고 거기서 쉴 새 없이 포탄이 쏟아져 나와 성 안을 쑥밭으로 만들었다. 마침내 카잔이 함락되고 동쪽 장벽이 뚫려, 러시아는 시베리아까지 넘볼 수 있게 됐다. 이반은 민중의 환호 속에 모스크바로 개선했고, 승리를 기념하여 대성당을 짓는다.
1556년에는 볼가 하류를 장악하고 있던 아스트라한 한국도 러시아군에 무릎을 꿇었다. 이로써 투르크어로 '강'이라는 뜻을 지닌 볼가 강 전체가 아시아인의 강에서 러시아인의 강이 됐다.
북서쪽으로는 발트 해로 나가는 출구를 얻고자 리보니아 기사단과 전쟁을 벌였다. 당시 북극해를 통해 영국과 교역하고 독일과의 교류도 늘고 있던 러시아로서는 발트 해로 나가는 출구가 꼭 필요했다. 리보니아 전쟁에서 처음에는 러시아군이 승리했으나 이후 리투아니아와 스웨덴이 개입하면서 전쟁은 장기전으로 접어든다.
전쟁에서의 승리와 함께 개혁 작업도 계속됐다. 1555~1556년에 영지의 규모에 따른 군역의 규모를 표준화했다. 영지의 규모를 기준으로 국가가 요청할 때 바쳐야 하는 무사와 말 등의 수를 정한 것이다. 그와 더불어, 지위가 세습되는 토착귀족과 봉공의 대가로 지위가 하사되는 사족의 구분도 희박해졌다. 차르에게 봉공하지 않고서는 누구도 지주로 남아 있을 수 없게 된 것이다.
그러나 리보니아 전쟁이 난항 속으로 빠져들고 사족들이 늘어나면서 점점 더 많은 토지가 필요해지던 차에, 1560년 이반이 몹시도 사랑하던 왕비 아나스타샤가 죽는다. 귀족들이 왕비를 독살했다고 믿은 이반 4세는 이후 대귀족들과의 전쟁에 돌입한다. 피를 말리는 공포정치 끝에 이반은 대귀족들의 세력을 크게 삭감하고, 대신 자신에게 충성하는 사족들을 키워 막강한 전제권력을 확립한다. |
'역사 ,세계사 > 러시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역사의 시작 (0) | 2014.09.13 |
---|---|
동북러시아의 통일과 전제군주의 등장 러시아 (0) | 2014.09.13 |
제정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스 2세(3) (0) | 2013.03.01 |
제정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스 2세(2) (0) | 2013.03.01 |
제정러시아의 마지막 황제 니콜라스 2세 (1) (0) | 2013.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