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무기 이야기

한국 해군 함정

구름위 2013. 11. 29. 16:53
728x90

최근 해군이 김좌진 잠수함과 천왕봉 상륙함 등 신예함정을 잇달아 진수했다. 한국 해군은 항공모함과 순양함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종류의 함정을 갖고 있다. 한국 해군은 어떤 함정을 갖고 있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는 리스트를 공개한다. 
  
해군 함정 리스틀 공개하는 것은 해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다. 해군을 알지 못하면 바다를 알지 못하고, 바다를 알지 못하면 세계로 나가지 못한다. 미국이 세계를 제패하는 것은 바다를 지배하는 해군력 때문이다. 해군 전투부대는 함정 단위로 편제된다. 배는 부대이면서 무기인 만큼 해군을 알려면 함정부터 알아야 한다.  
  
함정에는 영어 약호가 붙는다. 항모는 CV 순양함은 CC 구축함은 DD, 호위함은 FF, 초계함은 PCC, 잠수함은 SS식이다. 그런데 핵추진이 되면 N(Nuclear)를 붙인다. 핵추진 항모는 CVN, 핵추진 잠수함은 SSN이 된다. 핵추진은 항모나 잠수함에만 주로 적용하고 있다.
  
대형 전투함에 핵탄두를 단 탄도미사일을 탑재하면, B(Ballistic Missile)자를 더 붙인다. 핵탄두 탄도미사일은 주로 초대형인 핵추진 잠수함에 싣는데, 이러한 잠수함을 SSBN으로 적고 ‘핵추진전략잠수함’으로 대개 번역한다.
  
순양함 구축함 호위함 등에는 재래식 탄두를 단 미사일을 탑재한다. 이러한 함정에는 유도 미사일을 뜻하는 G(Guided Missile)자를 더 붙인다. 유도 미사일에는 탄도 미사일과 순항 미사일이 있는데, 함정에 싣는 유도 미사일은 대개 순항 미사일이다.
  
순항 미사일에는 장거리를 비행해 지상에 적 시설을 파괴하는 대지(對地) 순항미사일과 바다에 떠 있는 적 함정을 공격하는 대함(對艦) 순항미사일이 있다. 대지 순항미사일의 대표가 미국의 ‘토마호크’다. 토마호크는 인디언들이 사용한 전투용 도끼 이름이다. 한국은 ‘해성(海星)-2’를 개발해 갖고 있다.
  
대함 순항미사일에는 미국제인 ‘하푼’이 유명하다. 하푼은 큰 고기를 잡는 작살이다. 한국은 대함 순항미사일로 ‘해성-1’을 개발해 실전배치했다. 이러한 유도 미사일을 탑재한 순양함은 CCG, 구축함은 DDG, 호위함은 FFG로 표기된다.
  
미국 해군의 순양함과 구축함 호위함은 전부 유도미사일을 탑재하고 있기에 모두 G자를 붙인다. 한국 해군은 그렇지 못한 함정도 갖고 있다. 미국과 한국 해군이 갖고 있는 이지스 구축함은 전부 유도 미사일을 탑재하고 있기에 항상 DDG로 표기한다.
  
개중에는 유도미사일 탑재보다는 헬기 탑재를 강조하는 것도 있다. 이러한 함정에는 헬기를 뜻하는 H(Helicopter)자를 붙여 DDH로 표기한다. 한국 해군의 광개토대왕급 구축함과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이 그런 경우다. H자를 붙였다고 해서 이 구축함에 유도미사일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 해군은 크기가 갖은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1,2,3함대의 사령함으로 사용하고, 큰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은 기동전대의 전투함으로 배치하고 있다. 기동전대는 충무공 이순신급 2척에 세종대왕급 이지스함 1척으로 구성한다. 그러한 기동전대 3개가 제7기동전단이 된다. 
  
마찬가지로 DDG 구축함에도 헬기는 탑재된다. 그런데도 H대신 G자를 붙인 것은 강조점이 유도 미사일에 있다는 뜻이다. 보통의 경우는 큰 구축함은 DDG, 중간 구축함은 DDH로 적는 경우가 많다. 이지스 구축함은 많은 유도미사일을 탑재하기에 DDG로 표기한다.
  
초계함에도 대함 순항미사일을 탑재한다. 그러나 초계함에는 G자를 잘 붙이지 않는다. 그러나 초계함보다 작은 고속함이 대함 순항미사일을 탑재하고 있으면 G를 붙인다. 고속정은 패트롤 킬러라 PK로 약칭하는데 대함 순항미사일을 싣고 있으면 PKM으로 불린다. 우리 해군의 윤영하급 고속함은 해성-1을 싣고 있어 PKM으로 표기된다. 
  
한국 해군은 함정에 함번이라고 하는 번호를 붙인다. 여기에도 원칙이 있어 구축함은 900대, 호위함은 800대, 초계함은 700대, 고속함은 600대 번호를 준다. 잠수함에는 60과 70번대를 부여한다. 어떤 함정에 어떤 번호대를 부여하는지는 아래 표를 참고하기 바란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0과 4란 번호는 사용하지 않는다. 영은 적의 표적이 됐다는 뜻이 있기에 쓰지 않는다. 기뢰부설함인 원산함은 기뢰를 부설도 하지만 제거도 한다. 적이 부설한 기뢰는 완벽히 제거해야 한다. 0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원산함만은 예외적으로 0을 부여해 560함번을 갖게 했다.
  
그러나 4자는 죽을 사(死)를 연상시키기에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서양국가들은 4자 발음이 죽음을 연상시키지 않기에 함번으로 많이 사용한다. 상륙함에는 600번대를 부여했는데 독도함은 특별히 크기에 6111이라는 네 자리 함번을 부여했다. 어떤 함정에 어떤 함번대를 부여할 지는 각 나라가 결정한다. 
  
기타 비전투함은 함정의 성격을 따서 영어 약호를 붙이는데 그것은 아래 표와 같다. 함정을 알면 해군 편제도 알 수 있다. 각각의 함정이 해군 어느 부대에 속하는지도 적어 놓았다.

 

 

 

함정종류

영어 약호

별칭·통칭

함명

함번

비고

고속정

PKM

참수리

97척을 건조해 일부는 잃고 일부는 퇴역함

212

  ~

 375

1,2,3함대의 13전대, 23전대, 33전대에 분산 소속돼 있음

고속함

PKG

운영하급

윤영하함

 711

1,2,3함대의  12, 22, 32전대에 분산 소속됨. 20여척 내외가 건조될 예정임.

 

한상국함

 712

조천형함

 713

황도현함

 715

서후원함

 716

박동혁함

 717

현시학함

 718

정긍모함

 719

지덕칠함

 721

임병래함

 722

홍시욱함

 723

홍대선함

 725

한문식함

 726

김창학함

 727

박동진함

 728

초계함

PCC

동해급

동해함

 751

1함대의 12전대, 2함대의 22전대, 3함대의 32전대에 분산 소속돼 있음

수원함

 752

강릉함

 753

안양함

 755

포항급

(초기형)

포항함

 756

군산함

 757

경주함

 758

목포함

 759

(중기형)

김천함

 761

충주함

 762

진주함

 763

여수함

 765

(후기형)

진해함

 766

순천함

 767

이리함

 768

원주함

 769

안동함

 771

천안함(침몰)

 772

성남함

 773

부천함

 775

제천함

 776

대천함

 777

속초함

 778

영주함

 779

남원함

 781

광명함

 782

신성함

 783

공주함

 785

호위함

   FF

울산급

(초기형)

울산함

 951

1함대의 11전대, 2함대의 21전대, 3함대의 31전대와 해군작전사령부(해작사) 5전단 51전대에 분산 소속돼 있음

서울함

 952

충남함

 953

마산함

 955

(후기형)

경북함

 956

전남함

 957

제주함

 958

부산함

 959

   FFG

인천급(위의 초계함과 호위함을 잇는 함정임)

인천함

 811

20여척 건조해 1,2,3함대와 해작사 5전단에 분산 소속시킬 예정

경기함

 

 812

 

구축함

DDH

 

광개토대왕급

광개토대왕함

 971

1함대 11전대 소속

을지문덕함

 972

2함대 21전대 소속

양만춘함

 973

3함대 31전대 소속

충무공 이순신급

충무공 이순신함

 975

해작사 7전단 소속. 세종대왕급 한 척에 충무공 이순신급 두 척을 묶어 71, 72, 73전대로 편성됨

문무대왕함

 976

대조영함

 977

왕건함

 978

강간찬함

 979

최영함

 981

  DDG

 (이지스함)

 

세종대왕급

세종대왕함

 991

율곡 이이함

 992

유성룡함

 993

상륙함

    LST

고준봉급

고준봉함

 681

해작사 5전단 53전대 소속

비로봉함

 682

향로봉함

 683

성운봉함

 685

    LST-2

천왕봉급

천왕봉함

 686

고준봉급 후속함

    LPH

독도급

독도함

6111

해작사 7전단 소속

기뢰전함

    MLS

 (기뢰부설함)

원산급

원산함

 560

해작사 5전단 52전대 소속

    MHC

 (기뢰탐색함)

강경급

강경함

 561

강진함

 562

고령함

 563

김포함

 565

고창함

 566

금화함

 567

군수지원함

AOE

천지급

천지함

  57

해작사 5전단 55전대 소속

대청함

  58

화천함

  59

구조함

ASR

(잠수함 구조함)

청해진급

청해진함

 

  21

해작사 5전단 55전대 소속.

SSU도 같은 55전대 소속임.

ATS

(수상함 구조함)

평택급

평택함

  27

광양함

  28

잠수함

SS

장보고급

SS-1

(209)

장보고함

  61

해작사 9전단 소속. 세 척씩 묶여서 91, 92, 93, 95전대를 구성함

이천함

  62

최무선함

  63

박위함

  65

이종무함

  66

정운함

  67

이순신함

  68

나대용함

  69

이억기함

  71

손원일급

SS-2

(214)

 

손원일함

  72

정지함

  73

안중근함

  75

김좌진함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