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조선시대 성범죄 처벌 일단 강간 미수범은 장형 100대에 3천리 밖으로 유배당했다고 합니다....... 강간및 근친상간은 참형을 시행했다고 하네요........ 그리고 화간.. 즉 부부가 아닌관계의 경우 .. 이렇게 태형 80대를 각각 맞았다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유아강간일 경우 ,,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목을 잘랐다고 합..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2.10.02
[스크랩] 조선 왕조들의 재미있는 일화들 조선 왕조들의 재미있는 일화들 태종 1. 직업정신 투철한 사관이 따라다니며 일거수일투족을 다 기록해서 태종이 걷다 헛발질한 것도 적었다. 태종이 그건 제발 지워달라, 창피하다 애원까지 했는데도 사관은 끝까지 "왕이 길을 걷다 헛발질하다. 헛발질한 것을 적지 말라고 말한 것은 적..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2.10.02
[스크랩] 고구려의 밥그릇, 지금보다 밥 4배 더 먹었네! 고구려의 밥그릇, 지금보다 밥 4배 더 먹었네! [서울신문]고구려가 동아시아를 제패한 원동력은 ‘밥심’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지금보다 밥을 네 배나 더 많이 먹었다. 또 조선시대에는 두 배, 고려시대에는 세 배를 먹었다. 시대를 거슬러 올라갈수록 더 많은 양의 밥을 먹은 셈이다. 이..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2.10.02
[스크랩] 조선 왕의 병과 사망 이유 조선 왕의 병과 사망 이유 1. 태조-숙환으로 별세 2. 정종-어릴적부터 유약했고 몸이 않좋았슴. 3. 태종-스트레스가 주원인. 4. 세종-당뇨병이 주된 원인입니다. 5. 문종-어릴적부터 유약했으며 심각한 피부질환을 앓고 있었습니다. 6. 단종-유배지 청룡포에서 목이졸려 사망했습니다.(세조의..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2.10.02
[스크랩] 조선시대 비운의 왕자 사도세자 조선시대 비운의 왕자 사도세자 사도세자는 '비운의 왕자'로 통한다. 그는 집권당은 물론 아버지와도 갈등을 일으키다가 스물여덟 젊은 나이에 뒤주에 갇혀 8일 만에 숨을 거두었다. 정신이상 증세를 보이는데다가 석 달 동안이나 평안도를 몰래 여행했다는 것이 뒤주에 갇힌 표면적 명..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2.10.02
[스크랩] 반드시 해자가 존재한 일본의 성곽 2 반드시 해자가 존재한 일본의 성곽2 자료의 근거 http://gall.dcinside.com/list.php?id=history&no=459265&page=1&bbs= 쯔성 센다이성 타카마츠성 아카호성 야나가와성 역사 ,세계사/일본이야기 2012.10.02
[스크랩] 반드시 해자가 존재한 일본의 성곽 1 반드시 해자가 존재한 일본의 성곽 자료의 근거 http://gall.dcinside.com/list.php?id=history&no=459263&page=1&bbs= 마쓰에성 사쿠라성 오카이성 쓰루가오카성 역사 ,세계사/일본이야기 2012.10.02
[스크랩] 중국 역사 인물 - 이자성(북경에 동상이 세워져 있음) 이자성(李自成)은 중국 명(明)나라 말기의 농민봉기군 수령으로 섬서성 미지 출신이다. 농민가정에서 태어난 이자성은 소년시절부터 말 타기와 활쏘기를 즐겼으며 커서는 무예를 닦아 재간이 출중했다. 21살 나던 해 이자성은 양친 부모를 여의고 역참에 가서 마부노릇을 하였다. 1628년 ..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2.10.02
[스크랩] 이자성은 북경에서 어떻게 짧은 황제생애를 보냈는가? 글: 중화유산(中華遺産) 1644년은 역사상 갑신(甲申)년이다. 이 해에 북경성에는 정권교체가 일어났다. 3월에서 5월 사이에, 주마등처럼 세 개의 정권이 교체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3월 19일 틈왕(闖王) 이자성(李自成)은 농민군을 이끌고 북경으로 들어와 대순(大順) 정권을 수립하였..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2.10.02
[스크랩] 두 자매의 다른 길-송경령과 송미령 두 자매의 다른 길 - 송경령과 송미령 그 때 우리 나라에서는 - 1938년 / 한글교육 금지됨 1939넌 / 강제징용 손문은 1924년 간암으로 세상을 뜨면서 그 가족들에게 다음과 같은 유서를 남긴다. (나는 국가의 일에 전념하느라 가산을 다스리지 못했다. 내가 남기는 책, 의복, 주택 등 일체는 나.. 역사 ,세계사/중국 이야기 2012.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