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러사료를 종합해보면 그림과 같은 진격로에 의문이 간다.(운영자)
임진왜란 종군기는 정유재란때에 軍醫僧으로 조선에 온 케이넨( 慶 念 ) 이라는 스님이 1597년 6월 부터
1598 2월 8개월동안 조선에 머물면서 왜군의 진공루트를 따라서 본 경상도 와 전라도의 전투상황과 조
선인의 참상 과 피해 등을 상세히 기술한 종군기록서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임진왜란은 후세의 사가들이 평가하는 조선의 승전이다 아니다를 떠나 명백한 조선의
패배이며 이는 전장이 왜열도가 아닌 조선에서 벌어진 일이었기 때문에 그 피해와 참상은 고스란이
조선 조정과 조선백성의 몫이 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19세기말 조선에 체류하였던 영국인 외교관 조지 커어슨이 기술한 일반 조선의 모습은 그 당시로
부터 300년전에 벌어졌던 왜란의 피해를 복구하지 못한것으로 기술됨에 , 말하여 무엇함이 있겠나..
이글을 쓴 케이넨이라는 승은 일본의 安養寺 주지승 이었는데 규슈의 우스키성의 성주인 오오타 히슈우
( 大田飛州 )라는 무사의 군의관으로 종군한 기록이다. 이 원본은 현재 일본 안양사에 보관되어 있는데
그 원본을 편집자인 나이또( 內 藤 )씨가 조선학보에 1961년에 해설과 함꼐 발표한 것이다.
이 종군기에는 일자별로 종군한 상황이 기록되어 있으며 본인이 승이었기 때문에 불심에 기초한 서술이
많이 나온다.하지만 전부 소개 할수는 없고 그 당시로 부터 320년 후에 조선에 들이닥친 일본 제국주의
로부터의 피해자인 종군위안부 할머니들이 겪었던 고초가 과거 그들의 조상들이 임진왜란중에 자행한
만행과 잔인함들이 여기서도 배어 있다.
당시 종군 기간동안의 기록에 의하면 왜군은 경상도 고성,하동근처에 처음 상륙하여 전라도 남원을 거쳐
계속 북진하여 전주에 진입하였고 이어 충청도 진천에 이른다. 그러나 얼마후에 퇴각 명령이 내려져
경상도 상주로 내려와 한동안 머물렀다가 영천에 이른다.
이후로 바다와 가까운 경주에 도달하고 울산으로 내려와 울산성에 한동안 머물면서 축성까지 하다가
퇴각 명령을 받고 울산 서생포를 거쳐 부산에 도달하고 잠시 머물렀다가 대마도로 ,이끼를 거쳐 구주로
상륙하여 고향인 우스끼로 돌아가는것으로 글을 맺는다.
싸움터에서 일어난 참상,양민을 죽이고 방화와 약탈을 저지르며 도망가거나 피난한 조선 고위관리의
집에서나 각지의 사찰등에서 보물을 약탈하고 난 후 약탈한 보물을 차지하려고 서로 자기편끼리 죽이는
왜군들, 심지어는 왜군을 뒤따라온 왜상인이 전쟁중 포로가된 조선인을 매매하는 상황까지 그대로 묘사
되고 있다.
<왜군의 잔악함은 마치 지옥의 사자가 죄인을 잡아 다루듯하였다>고까지 그의 종군기에서 기록하였다.
그의 임진왜란 종군기에서 그 기록을 부분부분 발췌하여 여러 분에게 그 전화의 피해가 얼마나 참담한지를
알려 드린다.
1597년
6월24일 - 규슈현 사가항을 출항.
7월2일 - 대마도에 도착
7월8일 - 지금 김해군 가락면 죽림리근처에서 조선수군이 나타나 가고시마 사츠마의 배 8척을 빼았고
불질러버려서 부산해로 후퇴하였다.
7월9일 -부산포에 상륙하니 왜국 각지방의 상인을 볼수가 있었다.
7월10일 - 거제도에 머물러 있던 조선수군의 배를 왜군 3개성의 성주가 연합으로 조선수군의 배를 불태
우고 조선군을 남김없이 죽여버렸다.
7월29일 - 경상도 죽도에서 전라도 방면으로 전진하다 ,적선이 머물고있는 모든 섬에서는 적선이 파괴되어
불 태워지고 있었고 성들마다 시체들이 산을 이루고 있었다.
8월3일 -전라남도 고성 당황포의 명소를 거쳐 선진강 입구로 들어가 보니 끝도 보이지 않는 큰강이다
8월4일 - 배에서는 너나할것없이 남에게 뒤질세라 재보를 빼앗고 사람을 죽이며 서로 쟁탈하는 모습들
도저히 눈뜨고 볼 수 조차 없다.
8월6일 - 들도 산도 ,섬도 죄다 불태우고 사람을 쳐죽인다.산사람은 금속줄과 대나무 통으로 목을 묶어서
끌어간다. 어버이는 자식걱정에 탄식하고 자식은 부모를 찾아 헤매는 비참한 모습을 난생 처음
보게 되었다.
8월 8일 - 조선 아이들은 잡아 묶고,그 부모는 쳐죽여 갈라 놓으니 ...공포와 서러움에 몸을 떨고 있다.
8월12일 -남원으로 가는 높은산은 일본에서도 아직 보지 못한 큰 산이다 (지리산인듯) ...
8월16일 -남원성을 공격하여 성내의 사람들은 남녀노소 할것 없이 모두 죽여서 생포한 사람이 없다.
8월18일 - 성안으로 진을 이동하다 날이 밝아 성 주위를 보니 길바닥위에 죽은 자가 모래알처럼 널려
있다 눈뜨고 볼수 없는 처참한 상황이다.
8월20일 - 전라도 전주에 도착하였다....점점 날씨가 추워지기 시작하니 신속하게 전진해야 하겠다.
8월28일 -여기 전주를 떠나면서 가는 도중의 벽촌에서 남녀를 불문하고 죽이고 있는 참상은 차마 두눈을
뜨고 볼수가 없는 처참한 모습이다.
9월4일 -충청도로 들어가 가옥을 보니 불에 타고 심하게 부서진 집들 뿐이다. 쉴데가 없어 정말로 불편
한것 투성이다.
9월9일 -예속부대가 진천까지 밀고 올라간다는 이야기를 듣고 있었으므로 조금이라도 배가 부두에 가까와
지는 것이다...
9월19일- 경상도 상주라는 고도에 도착하였다...
9월29일 - 이곳에 체류하는 동안 젊은 이를 많아 잡아 들였는데 수가 많았다. 성주의 부하중에서도 뛰어
난 사람이 많이 죽었다.
10월4일 - 경주에 머무르게 되어 모두 쉬며 식사 준비를 하고 있었다...한층 더 훌륭한 관사도 있고 성도
있었지만 모두 도망가고 모두 불타 부서지고 무너지고 있다.
10월7일 -울산을 향해 가는 도정이 너무멀어 ... 하룻밤을 지세웠다.
이후는 11월 초까지 불교에 귀의한 승으로서의 참상에 대한 연민과 귀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었다.
11월10일 - 선략... 추위가 생각할수 없을 정도로 지독하다 ...높은 지위의 무사도 조선 원정에서 하루
빨리 고국으로 돌아갔으면 하는 바램뿐이다..
11월12일 - 선략...의욕없고 해이한 자는 쫒겨나며 또 적에게 목숨을 빼았기기도 한다.... 명분도 없는
그릇된 행위이기에 백성들의 슬픔은 판단의식을 흐리게 하여 조선인의 목을 잘라서 네거리에
세워 놓도록 만든다.
11월15일 -(울산왜성을 축조하면서) .... 낮에는 경계도 없이 사람을 과도하게 혹사시키면서 조금이라도
눈에 거슬리면 즉시 심히 질책하면서 사슬로 묶고 두들겨 패는등,죄업을 기록하고 따지는등
보기에도 곤혹스럽다.
11월17일 - 토요토미히데요시에게서 전갈이 왔다.조선에서 귀국하는 일정을 잘 세워서 인부 한 사람도
남지 않도록 주의하여 전원 배에타게 하라는 명령 이었다. 모든 사람이 기뻐하였다.
11월19일 - 왜에서 상인이 왔는데 그 중에 사람을 사고 파는 자도 있어 본진의 뒤에 따라 다니며 남녀
노소 할것 없이 사서 줄로 목을 묶어 앞으로 몰고 가는데 ..잘 걷지 못하면 뒤에서 지팡이로
몰아부쳐 두들겨 패는 모습은 지옥의 아방이 죄인을 잡아 들이는 것도 이와 같을 것이다...
11월30일 - 배를 항구의 입구까지 꺼내려고 선원들이 얼음을 깼지만 얼음이 더더욱 두텁게 얼어서 배를
움직일수도 없을뿐 더러...
12월4일 - 산과 들과 마을과 강도 전부가 둔이 쌓여 행인도 어찌할 도리가 없는 상황 , 눈뜨고 볼 수 없는
풍경이다.
12월22일 - 아침 일곱시경 성의 동쪽에서 연기가 솟아 오르고 대포 소리가 연달아 들려와서 ... 명나라가
개입하여 ... 급습해 왔다고 한다. (울산성인듯 함).성문의 문이 아직없어서 명군이 난입하여
맹렬하게 벽위 돌담 밑에서 불화살을 쏘아댄다...성내에 불이 붙어서 인부,무사들이 수천명이
타죽었다.
12월24일 -명군과의 전투에서 명군도 또한 부상자가 많이 나오고 대포에 맞아 수명이 죽으니까... 또 뒤로
물러나서 성을 에워싸서 소모전을 피우며 자연히 항복토록 하는 계략으로 보여서 ...
1598년
1월4일 - 명군과 조선군이 새벽부터 다시 공격해 올라와서 물불을 가리지 않고 대포,돌,불화살을 쏘고
던지며 ,...성안에서도 분발하였고 ...
1월6일 -울산에서 배를 출항하다.
1월7일 -울산 서생포에 도착하여 하룻밤을 새웠다...
1월 19일 -그동안의 일정이 지연되어 ...오늘 부산해에 도착하여 ...
1월21일 -대마도 서쪽 부두에 도착하였다
1월29일 -시모노세키에 도착.
2월1일 -사가현에 도착.
위의 일지를 보면서 조선의 국왕이하 정세 판단착오와 위정자들의 안이함 등의 문제로 인하여 산천은
온통 불바다가 되고 한 나라의 유적과 재산과 보물은 온데간데 없어지듯 침탈을 당하며 죄없는 백성들은
처참한 죽임을 당하고 산하 고을이 피로 물들게 되는 모습을 일기를 통해 생생히 느끼게 됩니다.
무능한 국왕 선조와 자기 안위에만 몰골하는 대신들 ,그리고 지원한 명군의 소극적 움직임..,이 전부 절대권력 지도자의 무능과 아집 그리고 백성은 온데간데 없고 祀稷만
지키려는 치졸한 아집에서 비롯되었음을 직시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