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당시 왜군과 우리나라의 전투는 '조총'대 '승자총통'의 대결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이미 포르투갈의 선원을 통해 조총을 구입한 일본은 그 후 기하학적인 숫자로 조총의 보급율이 증가하게 되었는데요. 당시 조선에서도 조총을 접했었지만 그 불편함과 번거로움, 그리고 그 영향력을 간과하며 일본처럼 양산하는 단계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다가온 임진왜란! 우리나라의 군사들은 조총으로 무장한 왜군에게 연패하며 조총을 두려워했다고 합니다. 이에 이순신 장군은 조총 생산을 시도했지만 신통치 않았습니다. 물론 조선에도 '승자총통'이라는 휴대용 화기가 있었지만 휴대성과 명중률이 높은 조총에 비해 성능이 다소 떨어졌기 때문에 임진왜란 이후에 조선에서도 조총을 조선군의 주무기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승자총통이 조총에 비해 모든 면이 뒤쳐진다는 것은 아닌데요. 승자총통의 위력은 조총보다 높았다고 해요^^ 자, 그러면 이제 조총과 승차총통에 대해 사진과 함께 살펴볼까요?
1) 조총
먼저 조총입니다. 조선 시대 당시 '최고의 무기'로 칭송을 받았던 조총은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임진왜란 때부터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조총은 이름 그대로 '하늘을 나는 새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뜻인데요. 15세기말 유럽에서 처음 만들어져 16세기 경 아시아로 전해진 조총은 제일 처음 일본으로 전래되었습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고 왜군은 조총으로 무장했고, 이에 연패하던 조선군에서는 조총을 수입하여 제조하게 되었는데요. 이후 조총은 조선후기까지 조선군의 대표 개인용 화기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조총을 기반으로 조선 숙종 때는 '천보총'이 제작되었는데요. 이 천보총은 조총보다 조금 길고 무거웠지만 사거리가 길었기 때문에 주로 관문을 방어하는데 사용되었다고 하네요^^
2) 승자총통
승자총이라고도 불리는 승자총통은 총구에서 화약과 실탄을 장전하고 손으로 직접 약선에 불씨를 점화하여 발사하는 유통식 화기입니다. 1583년 발생한 니탕개의 난(여진족의 추장인 이탕개를 중심으로 발생한 여진족의 반란) 때 큰 효과를 보기도 했지만, 위의 조총에 비해 성능이 떨어졌는데요. 길이는 49.5cm~59cm, 무게는 3.25kg~4.56kg 정도였고 사정거리는 약 720m 였다고 해요.
현재 승자총통의 현존유물은 많은 편인데요, 그 중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승자총통이 보물 제648호로 지정되어 있기도 합니다. 이 승자총통의 종류로는 차승자총통, 소승자총통, 별승자총통이 있는데요.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차승자총통은 기존의 승자총통보다는 규모가 다소 작았습니다. 길이가 56.8cm, 총구 지름이 1.6cm로 한 번에 철환 5개를 발사했는데요. 총신이 약간 구부러진 것이 보이시나요? 발사과정에서 탄환이 힘을 받아 장거리에 도달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합니다.
그 아래에 있는 별승자총통은 승자총통 종류 중 가장 큰 길이 76cm랍니다. 기존의 승자총통보다 부리를 길게 만들어서 사정거리를 늘이고 이에 구경이 작아서 명중률을 높인 것이 특징이라고 하네요^^
마지막으로 소승자총통입니다. 소승자총통은 우리나라 최초로 현대식 모양을 갖춘 총인데요. 길이가 50~59cm, 무게는 2.5~2.72kg 정도였는데요, 앞의 승자총통 종류보다 훨씬 가벼운 무게죠?
소승자총통은 청동으로 만들어졌는데요. 승자총통보다는 숙련된 주조 기술을 이용했다고 합니다.
자, 오늘도 사진과 함게 살펴 본 조선 시대의 무기! 현대식 총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총통과 조총을 살펴보셨는데 어떠셨나요?^^ '총'이라고 하면 당연히 외국을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 이미 임진왜란에서부터 우리나라에도 이런 총들이 있었다는게 참 신기한데요
'전쟁..... > 임진왜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케이넨의 종군기> 에서 보는 정유재란 그 조선의 참상 (0) | 2013.05.30 |
---|---|
[조선 의 무기] 임진왜란 경주성 탈환의 일등공신, 조선의 독창적인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0) | 2013.05.19 |
[조선 시대의 무기] 전투 전, 적을 먼저 살펴보자! 조선시대 정찰선(船)! (0) | 2013.05.09 |
충북서도 가왜·부왜 현상, 임진왜란 (0) | 2013.05.06 |
서애 유성룡 - 종장 - 세상을 떠나다 (0) | 201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