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마고지 전투는 한국전쟁 사상 가장 치열하게 진지전이 전개되었던 시기인 1952년 10월에, 철원 북방의 백마고지(395고지)를 확보하고 있던 국군 제9사단이 중공군 제38군의 공격을 받고 10일 동안에 걸쳐 치른 방어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국군 제9사단은 중공군 제38군 소속 3개 사단의 연속적인 공격을 받아 이를 물리치는 동안 수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으나, 제1포병단의 화력지원과 유엔 공군의 항공근접지원하에 완강히 대항하여 중공군 10,000여명을 격멸하고 백마고지를 확보하는데 성공하였던 것이다.
1952년은 교착된 전선에서 대체로 큰 변화가 없었다. 후반기에도 쌍방은 전 전선에 걸쳐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었으나 대규모의 전면공세를 실시할 태세를 취하지는 않았다. 휴전 회담장에서는 서로 유리한 휴전조건을 쟁취하려는 협상이 진행 중에 있었기 때문에 쌍방은 그 결과를 주시하면서 군사력 증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었기 때문이다.
국군과 유엔군은 6월초 서부전선의 미 제1군단지역에서 소규모 제한공격인 소위 카운터(Counter) 작전을 실시하여 미 제45사단이 진지정면의 주요 감제고지를 점하고 있는 적의 전초들을 탈취한 후 아군의 방어진지를 강화하였다. 그 작전 결과 아군은 역곡천 북안의 백마(White Horse, 395)고지, 화살머리(Arrowhead, 281)고지, 티본(T-Bone, 290)고지와 역곡천 남안구릉의 포크찹(Porkchop, 255)고지, 불모(Old Baldy, 266)고지 등 11개 목표를 장악하여 전초진지를 강화하였으며, 이로써 차후 보다 유리한 지형에서 적의 공격에 대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적의 역습이 시작됨에 따라 이들중 중요 전초에서의 쟁탈전은 계속되었고 이어 전 전선에 걸친 전초진지 쟁탈전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련의 전투는 대체로 피아간에 주진지의 변동이 없는 가운데 보다 유리한 전초진지를 장악하여 각기 방어태세를 강화하려는데 주안이 있었다.
백마고지 전투는 52년 10월 6일부터 철원 북방 백마고지를 확보하고 있던 국군 제9사단이 중공군 제38군의 공격을 받고 10일 동안 혈전을 수행한 끝에 방어에 성공한 전투이다.
군단 좌익의 제9사단은 이 전투가 벌어지기 1년전인 1951년 10월 17일부터 철원지역의 주저항선에 투입되어 좌로는 백마고지, 우로는 중강리까지 11㎞의 철원평야를 방어하고 있었다.
사단정면의 적은 중공군 제38군(江擁輝) 예하 제114사단 제340, 제324연대가 배치되어 있었으며, 제113사단이 좌인접 미 제2사단 정면에, 제112사단이 제38군 예비로서 수정덕산 부근에 배치되어 있었다. 이들은 왜식장총, 다발총, 기관단총, 중기관총, 무반동총, 박격포 등으로 장비되고 보급.훈련 등도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단의 주저항선은 대부분 철원평야를 가로지르는 개활지였으며 다만 좌단의 395고지 부근만 구릉으로 이어져 있었다. 그러나 적이 효성산(619)을 비롯한 유리한 고지들을 장악하여 사단 방어지역을 감제하고 있었으므로 전반적으로 아군은 방어에 취약하였다. 특히 주저항선 5㎞ 전방에 위치한 봉래호는 작전지역의 역곡천을 범람시킬 수 있어 작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사단장 김종오(金鐘五) 소장은 9월 22일부로 좌일선에 제30연대, 우일선에 제29연대를 배치하고 제28연대를 예비로 확보하는 한편, 그밖에 배속받은 제51연대도 대대단위로 운용하면서 주저항선을 방어하였다. 이중 백마고지 방어를 담당한 제30연대는 395고지에 제1대대를, 중마산 일대에 제2대대, 역곡천 남안에 예비 제3대대를 각각 배치하고 있었다.
사단은 당시 적의 기도를 백마고지를 탈취하여 철원평야를 제압하는 동시에 차기대공세를 위한 발판을 구축하며 철원을 중심으로 한 광범한 지역을 통제함으로써 중부전선에서 전략적 이점을 확보하고 아군을 크게 위협하려는 것으로 판단하고 방어태세를 강화하였다.
이무렵 전 전선에 걸쳐 적의 공세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정찰과 경계를 강화하고 있던 차 10월 3일에 중공군 군관 1명이 귀순하여 "중공군 제114사단이 10. 4∼6일 사이에 백마고지에 대한 공격을 할 것"이라고 진술하였다. 이에 사단은 백마고지 방어병력을 2개 대대규모로 증강하고 사단예비로 하여금 즉각 역습에 임할 수 있도록 조치하고 정찰활동을 강화하였다.
10월 6일 아침부터 국군 제9사단 정면에 포격을 집중하던 적은 봉래호 뚝을 파괴하여 역곡천을 범람시키며 중공군 제38군 제114사단이 19:15 제30연대가 방어하고 있는 백마고지 일대로 공격해 들어왔다. 적은 제340연대가 1개 대대를 고지주봉에서 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능선으로 투입하고, 1개 대대를 주봉으로 투입하였다. 그러나 연대는 이 날밤 적과 3차에 걸쳐 치열한 공방전을 전개한 끝에 적에게 많은 피해를 주면서 격퇴하였다.
중공군은 이날 밤 백마고지 공격에 앞서 좌인접 미 제2사단 방어지역이며 백마고지 서남방 3㎞ 지점의 화살머리고지(281)에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였다. 이는 백마고지에 대한 양동작전으로 판단되었으며, 이 고지에 배치된 프랑스대대는 지원화력의 엄호하에 근접전투를 벌여가며 적의 파상공격을 방어하였다.
다음날 밤 백마고지에 대한 공격을 재개한 중공군은 2개 대대로 전초진지를 포위하면서 계속 압력을 가하였으며, 국군은 제30연대가 일시 고지 정상으로부터 철수하였으나 약 2시간후 사단으로부터 탈환명령을 받은 제28연대가 역습을 감행함으로써 이를 다시 탈환하였다. 연대는 탈환 즉시 적의 반격에 대비하여 진지를 강화하는 작업에 주력하였다.
10월 8일 새벽 고지일대에 안개가 자욱하게 깔리자 적은 제5차 공세를 재개하였다. 이날 적은 전날까지의 공격이 여의치 못하자 중공군 제38군 예비인 제112사단 제334연대를 투입하였던 것이다.
국군 제28연대 장병들은 사력을 다하여 이에 맞섰으나 짙은 안개로 포병 및 항공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한 가운데 08:10 주봉을 적에게 피탈당하고 말았다. 사단은 17:00 제28연대 제3대대를 투입 또다시 반격을 개시하였다. 대대는 적의 거센 저항에 부딪쳐 장장 8시간여의 격전을 거듭한 끝에 23:05 마침내 주봉을 탈환하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그 동안 5차에 걸친 밀고 밀리는 치열한 공방전에서 제28, 제30 양연대는 거의 재편성이 불가피할 정도로 많은 병력 손실을 보았다. 사단은 적포로의 진술을 기초로 적의 공격이 당분간 계속되리라 판단하고, 제29연대를 백마고지에 운용할 복안으로 사단예비로 전환하였다.
9일밤 자정이 지나면서 중공군은 또다시 집요한 공격을 개시하였다. 근 3시간에 걸친 파상공격으로 밀어닥친 적은 새벽 03:00 고지주봉과 그 우측능선의 일부를 다시 수중에 넣는데 성공하였다.
날이 밝자 사단은 적이 점령한 고지정상에 17,700발의 포탄과 항공기에 의한 화력을 집중투하하고 이 날밤 제29연대로 하여금 역습을 전개하도록 하였다. 연대는 적의 완강한 저항을 물리치고 자정 무렵 고지 주봉을 점령하고 적을 격퇴하였다.
중공군도 결코 이 고지만을 양보할 수 없다는 기세였다. 10일 새벽 적은 정상을 향하여 개미떼처럼 기어오르고 있었으며 04:00무렵부터 피아간에는 수류탄 투척전과 백병전이 전개되었다. 처절한 전투가 전개되었으나 국군 제29연대 제1대대가 주봉에서 9부능선으로 철수한 후 제2대대의 증원을 받은 후 역습을 감행, 이날 06:30 다시 정상을 탈환하였다.
10월 11일 밤 고지는 다시 중공군의 수중으로 넘어갔으나 12일 아침 반격 제30연대가 제29연대를 초월공격함으로써 이를 재탈환하였으며 다시 적의 반격을 받아 피탈되었다. 이에 제28연대가 다시 밀고 밀리는 육탄전을 10월 15일까지 계속한 끝에 마침내 탈환에 성공하였다.
이어 제29연대가 기세를 몰아 395고지 북쪽 낙타능선상의 전초진지를 탈환하게 됨으로써 적을 완전히 격퇴하였다. 거의 궤멸상태에 이른 중공군 제38군은 예하 사단을 축차로 철수시켜 전선에서 물러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한편 화살머리 고지의 프랑스대대도 많은 인명손실을 입었지만 끝까지 진지를 확보하였고, 이로써 좌익으로부터 백마고지에 미치는 적의 위협을 차단하여 제9사단의 백마고지 방어에 기여하였다.
결과적으로 국군 제9사단은 10월 6일부터 중공 제38군의 공격을 받아 연 10여일간 12차례의 쟁탈전을 반복하여 7회나 주인이 바뀌는 혈전을 수행한 끝에 백마고지를 확보하였다.
이 전투에서 중공군 제38군은 총 9개 연대중 7개 연대를 투입하여 그중 1만 여명이 전사상 또는 포로가 된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국군 제9사단도 총 3,500여명의 사상자를 낸 것으로 보고되었다. 제9사단은 전투기간중 적시 적절한 예비대의 투입 및 부대교대 등으로 부대원들에게 생기를 불어넣어 주었으며 최악의 위기 속에서도 목표 탈취를 위한 투지를 견지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강력한 포병 및 항공화력을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결국 이러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제9사단은 철의 삼각지를 지배하기 위한 적의 전략적 기도를 꺾고 끝내 고지를 확보하였다. 이 전투로 국군 제9사단은 철의 삼각지대의 좌변 일각인 철원지역을 계속 장악하게 되었으며, 중공군 제38군은 그들 제23군과 교대한 후 후방으로 물러서게 되었다.
'전쟁..... > 한국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괴멸위기 몰렸던 한국전時 중공군 (0) | 2013.06.26 |
---|---|
중국인민해방군의 6.25참전 8대 혈전 (0) | 2013.05.30 |
[스크랩] 한국전쟁 10대전투(9) 국군 제 3군단의 현리전투 (0) | 2013.05.07 |
[스크랩] 한국전쟁 10대전투(8) 미 제23연대의 지평리전투| (0) | 2013.05.07 |
[스크랩] 한국전쟁 10대전투(7) 미 해병 1사단의 장진호전투 (0) | 2013.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