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전쟁이야기

배신·할복의 상징 등 돌린 사무라이 “너를 피하고 싶다”

구름위 2017. 1. 14. 21:23
728x90

배신·할복의 상징 등 돌린 사무라이 “너를 피하고 싶다”

전 어


우리나라는 “비싸도 그만큼 값어치”

돈 전(錢)자 붙여 전어(錢魚)라고 이름

 

일본어로 ‘고노시로’ 성 함락 의미

굽는 냄새도 싫어했던 금단의 생선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계절이다. 시어머니 구박에 집을 뛰쳐나간 며느리가 되돌아올 정도니 한국인에게 가을 전어는 그만큼 맛있는 생선이다.
그런데 일본 며느리가 전어 굽는 냄새를 맡았다면 어떤 반응을 보일까? 우리와는 반대로 집안에 멀쩡히 잘 있던 며느리조차도 집을 뛰쳐나간다. 일본 사람들은 전어 굽는 냄새라면 질색하기 때문이다. 심지어 옛날 일본 무사, 전쟁터에서 용감하게 싸워야 할 사무라이들은 전어를 무서워하기까지 했다. 사무라이에게 전어는 아예 금단의 생선이었다.

 

 

기사사진과 설명
전어구이

전어구이



 

 전어 구이를 놓고 한국과 일본, 두 나라에서는 왜 이렇게 극단적으로 서로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일까? 엉뚱하지만 우리말 ‘전어’와 일본말 ‘고노시로’라는 이름에 비밀을 풀어줄 열쇠가 있다.

 전어는 한자로 돈 전(錢)자를 써서 전어(錢魚)다. 가을 전어는 비싼 값을 주고라도 사 먹는 생선이고 그만한 값어치를 하기에 전어라는 것이다. 정조 때의 실학자 서유구는 ‘난호어목지’에 그 이름의 유래를 적었다.

 “전어는 살에 가시가 많지만, 육질이 부드러워 씹어 먹기 좋으며 기름이 많고 맛이 좋다. 상인들이 소금에 절여 서울로 가져가 파는데 신분의 높고 낮음을 떠나서 모두 좋아해서 사는 사람이 값을 생각하지 않고 사기 때문에 전어(錢魚)라고 한다.” 값도 따지지 않고 전어를 샀다는데 도대체 얼마나 비쌌을까? 조선 중기 ‘쇄미록’에는 “듣자니 시장에서 큰 전어 한 마리 값이 쌀 석 되에 이른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심지어 경주에서는 가을 전어 값이 비단 한 필의 가격과 맞먹는다고 했을 정도다.

 물론 전어가 고급 생선이고 맛있다는 이유만으로 이렇게 터무니없을 정도로 값이 비쌌던 것은 아니다. 조선 시대의 잘못된 공물제도와 유통구조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에 전어 값이 천정부지로 뛰었다. 하지만 가을 전어는 기본적으로 기름진 맛 때문에 인기가 높은 게 사실이었다. 그래서 값의 높고 낮음을 따지지 않고 사 먹었기에 돈(錢) 생선(魚)이라는 이름이 생긴 것이고, 집 나간 며느리가 전어 굽는 냄새를 핑계로 슬그머니 되돌아올 충분한 명분이 됐다.

 그런데 전어가 일본으로 건너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생선을 좋아하는 일본 사람들이지만 전어 굽는 냄새만큼은 질색한다. 일본에서도 가을 전어를 최고로 치지만 주로 젓갈을 담그거나 식초에 절여 먹거나 회와 초밥으로 먹지 구이로는 먹지 않는다. 전어 굽는 냄새가 불쾌하기 때문이다.

 전어 굽는 냄새가 싫은 까닭은 전어의 일본말 이름 고노시로(このしろ)가 생기게 된 전설과 관련이 있다. 옛날 일본에 예쁜 딸을 둔 노인이 있었다. 어느 날 그곳을 다스리는 영주가 딸의 미모에 반해 데려다 첩으로 삼으려 했다. 외동딸을 첩으로 시집보낼 수는 없었던 부모는 딸이 병들어 죽었다며 영주를 속였다. 그러고는 죽은 딸을 화장한다면서 딸 대신 물고기를 넣고 관을 태웠다. 이때 넣은 물고기가 바로 전어였다. 전어 타는 냄새를 맡은 영주의 부하는 정말로 딸이 죽어 화장했다며 돌아가 영주에게 보고했다. 그 때문에 자식을 대신해 태운 물고기라는 뜻에서 전어를 고노시로(子の代)라고 부르게 됐다는 것이다.

 

기사사진과 설명

사무라이는 전어가 성의 함락과 할복자살을 연상시킨다며 금기시했다. 도쿄 국립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무사도.




 일반인들은 전어 굽는 냄새를 싫어하지만, 옛날 일본 사무라이들은 아예 전어를 먹지 않았다. 사무라이에게는 금단의 생선이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역시 ‘고노시로’라는 일본말 이름과 관련이 있다. 고노시로는 ‘우리 성(この城)’이라는 뜻도 된다. 그 때문에 전어를 먹는다는 것은 자신이 소속된 성을 먹는다는 것과도 통하니 “배신하다. 성이 함락되다”라는 말이 된다. 그래서 사무라이는 전어를 절대로 먹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무라이가 전어를 먹을 수 없었던 이유가 또 있었다.

 옛날 전어는 별명이 절복어(切腹魚)였다. 배를 가르는 물고기라는 무시무시한 별명이다. 사무라이에게 할복을 명령할 때 마지막으로 먹인 음식이 바로 전어였기 때문에 생긴 별명이라고 하는데 왜 하필 전어를 먹였는지에 대한 설명은 없다. 어쨌거나 사무라이들은 전어를 보면 할복이 연상되기 때문에 먹기를 꺼렸다는 것이다.

 프랑스의 법관이자 미식가인 브리야 사바랭이 이런 말을 했다. “먹는 음식을 보면 그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 수 있다(you are what you eat).”

 사무라이가 전어 먹기를 두려워한 것에서 일본 사무라이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스스로 배를 가르는 자살 방법을 택하는 것은 심한 고통도 견디며 스스로의 죽음을 지켜본다는 자기 과시가 바탕에 깔려있다고 한다. 무사가 전쟁터에서 죽는 것은 당연하다는 생각, 그 때문에 일상생활에서도 죽음에 대한 공포심을 극복해야 하고, 어차피 죽는다면 화려하게 지고 싶어 할복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할복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전어조차 먹지 못했던 일본 사무라이의 행동에서 겉으로는 배를 가를 정도로 허세를 부리지만 속으로는 죽음에 대한 공포로 떨었던 일본인의 슬픈 의식 구조, 강요된 할복에 대한 내면의 갈등이 엿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