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해군, 6·25전쟁 참전 배경 1953년 임육성이 소형기뢰를 조작하고 있는 모습. 2000년 월간 잡지 종횡(縱橫)10월호 게재. 1951년 6월 중순부터 북한 내 중국군의 배후에 유엔군이 상륙할 것을 우려하기 시작한 중국 지도부는 이듬해 하반기에 들어와 그 의구심이 더욱 깊어졌다. 근거는 세 가지였는데, 모두 중국 지도부의.. 전쟁...../한국전 2013.01.23
대관령 방어전투(1951. 5. 22 - 5. 25)| 1951년 5월 16일부터 시작된 공산군의 제2차 춘계 공세로 5월 초부터 미주리선을 향한 국군과 유엔군의 진격작전에 차질이 생겼다. 특히 중동부 전선에서 국군 방어선 일부가 무너져 점차 전황이 아군에게 불리하게 되자, 육군본부에서는 전선을 정리하기 위해 동부전선의 국군 1군단에게 .. 전쟁...../한국전 2013.01.23
피로 쓴 신화, 백마고지전투 6ㆍ25전쟁은 끝을 맺지 못한 전쟁입니다. 국토는 전쟁 이전처럼 계속 분단된 상태고, 북의 계속되는 도발로 인해 이전보다 더 팽팽히 대치중인 상태입니다. 정확하게 3년 1개월 2일이라는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었던 6ㆍ25전쟁은 지금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3년이 넘.. 전쟁...../한국전 2013.01.23
미국이 선정한 최고의군인16중 한국인 미군도 인정한 진정한 전쟁영웅이었던 한국인 미국 장교가 있었습니다. 그는 바로 한국계 미국인 카피텐 김,한국이름 김영옥. 김영옥은 미국 하와이에서 활동했던 독립운동가 김순권의 장남으로 1919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로스앤젤레스 시립대학에 진학했습니다. 그 당시 유.. 전쟁...../한국전 2013.01.23
무적해병의 신화, 도솔산전투 학자마다 조금씩 견해가 다르기는 하지만 6ㆍ25전쟁 당시에 중공군의 대공세는 모두 7회에 걸쳐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중 휴전직전이던 1953년 7월에 금성천 일대에서 벌어져 휴전협상에서 주도권을 쥐려했던 7차 공세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공세는 1950년 10월 참전한 이후 일정한.. 전쟁...../한국전 2013.01.23
쓰러지지 않는 오뚜기 사단장에게 대든 하사관 한 포병대대 탄약관이 가쁘게 숨을 몰아쉬며 사단본부에 도착했다. 본부 앞 연병장은 각종 문서와 장비를 적재하기 위해서 대기 중인 차량들로 북적이고 있었다. 전날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전쟁이 발발하였기 때문에 상당히 어수선한 상황이었다. 지휘에 열중.. 전쟁...../한국전 2013.01.17
만일 그랬다면? 1950년 12월에 있었던 흥남 철수는 전쟁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철수 작전으로 회자된다. 10만의 대규모 병력 및 장비와 더불어 공산치하에서 신음 할지도 모를 10만의 민간인도 함께 소개한 인도적인 작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오래전 시사월간지 보도에 따르면 당시 유엔군 사령부는 철수.. 전쟁...../한국전 2013.01.17
국군 기갑사(機甲史) 현재는 세계적인 수준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육군이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었다. 한국전쟁 발발 이전에 창설되었던 부대로는 제1, 2, 3, 5, 6, 7, 8, 수도경비사령부(전쟁 도중 수도사단으로 개편되었는데 현재의 수도방위사령부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의 8개 사단 급 부대와 육군.. 전쟁...../한국전 2013.01.16
한국전쟁 당시에 대한민국이 가장 위기였던 순간 오래 동안 "한국전쟁 당시에 대한민국이 가장 위기였던 순간이 언제였는가?" 한다면 열이면 열 1950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벌어진 '낙동강방어선전투'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총 연장 200여 킬로미터의 낙동강방어선의 일각이라도 북한군에게 돌파되어 부산이 점령당.. 전쟁...../한국전 2013.01.16
함안 남강변의 전투 경찰 혈투사 함안 남강변의 전투 경찰 혈투사 침공 초일 비장한 각오로 포천 방면으로 출동하는 서울 시경 경찰들 1950년 6월 25일.북한군은 전 전선에서 침공을 개시했으며 제일 서쪽 전선에서 움직인 북한군 6사단은 대담한 기동을 시작했다. 북한군 6사단은 그 전신이 중국 팔로군의 166사단인데 중국.. 전쟁...../한국전 201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