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주족의 입장에서 쓴 정묘호란, 병자호란 (II) 천총10년(1636년) 4월, 청태종은 황제로 칭한다. 국호를 대청(大淸)으로 바꾸고 연호를 숭덕(崇德)으로 정한다. 조선은 청태종의 황제즉위식에 나덕헌(羅德憲), 이곽(李廓)등의 사신을 심양으로 보내어 축하한다. 그런데, 황제에 대한 대례를 거행할 때, 나덕헌, 이곽은 무릎꿇는 것을 거절하..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4.02.04
만주족의 입장에서 본 정묘호란, 병자호란 (1) 작자: 예허나라 위린(葉赫那拉. 煜麟) ================================= 조선은 명나라와도 국경을 접하고 있고, 후금(이후 "청"으로 국호를 바꿈)과도 이웃이다. 당시 명나라와 후금이 대치하고 있었는데, 후금은 계속 서쪽으로 진격하여 명나라를 정벌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동쪽에 위치한 조..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4.02.04
악역을 자청한 두 임금 태종⑤ 마지막 유산 악역을 자청한 두 임금 태종⑤ 마지막 유산 1399년 명 태조 주원장(朱元璋)의 4남인 연왕(燕王) 주체(朱逮)는 조카인 혜제(惠帝)를 축출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켰다. 양측이 수십만 병사를 동원하는 내전이 3년간 지속되었는데, 정도전이 살아 있었다면 이 혼란기를 이용해 북벌을 단행했을 ..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12.10
악역을 자청한 두 임금 태종④ 세자 교체와 양위 악역을 자청한 두 임금 태종④ 세자 교체와 양위 태종은 재위 5년(1405) 세자 이제(이제·양녕대군)에게 고대 은(殷)나라의 걸(桀)과 주(周)나라의 주(紂)왕이 백성에게 버림받은 독부(獨夫)가 된 이유를 물었다. 세자가 “인심을 잃었기 때문”이라고 답하자 “나와 네가 인심을 잃으면 하..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12.10
태종 3 외척과 공신의제거 악역을 자청한 두 임금 태종③ 외척과 공신 숙청 1402년(태종 2년) 3월 7일. 태종은 성균악정(成均樂正) 권홍(權弘)의 딸 권씨를 ‘어진 행위가 있다는 이유로’ 후궁으로 맞아들이려 했다. 혼인을 주관하는 가례색(嘉禮色)까지 설치했으나 일정은 예정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원경왕후 민씨..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12.07
태종 2 골육상쟁 개국은 했으나 불안한 신생 왕조였다. ‘조선이 과연 얼마나 갈까?’라는 의구심이 짙게 깔려 있었다. 개국 초 감찰(監察) 김부(金扶)가 좌정승 조준(趙浚)의 집 앞을 지나다가 “비록 큰 집을 지었지만 어찌 오래 살게 되겠는가? 뒤에 반드시 다른 사람의 소유가 될 것이다”고 말했던 것..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12.07
악역을 자청한 두 임금 - 태종① 정몽주 제거 모든 군왕(君王)은 성군(聖君)으로 기억되고 싶어한다. 누가 폭군(暴君)·용군(庸君·어리석은 임금)으로 기억되고 싶겠는가? 그러나 원한다고 모두가 성군이 되는 것은 아니다. 군주 개인의 노력만으로 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시대가 허용해야 하는 것이다. 때로 시대는 악역과 가시밭..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12.07
마음으로 그린 90년 전 한국과 한국인 마음으로 그린 90년 전 한국과 한국인 ● 엘리자베스 키스 1887-1956 ‘Portrait of Miss Elizabeth Keith’ by Ito Shinsui, 1922 20세기 일본 화단의 대가로 꼽히는 이토 신수이(伊東深水, 1898-1972)가 그린 키스의 초상화 1919년 엘리자베스 키스라는 호기심 많은 한 영국 여인이 극동의 작은 나라 조선을 방..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11.21
왜 고려와 조선은 화약을 애용하지 않았을까... 우리나라에 처음 화약이 도입된 것은 14세기 말엽 최무선에 의해서 였다. 그 후 고려는 첨단 화약무기(당시로서는)를 상당히 많이 생산했고, 이후 조선에 까지 그 기술에 전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사무기 분야에서 일본이나 서양에서와 같이 화약무기의 전파 속도가 빠르지 않았..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10.30
동학혁명 동학혁명(1894년) 은 전봉준, 최시형, 손병희 등과 같은 동학당의 지도자들과 동학 교도들이 주동이 되어 농민들과 함께 1894년에 일으킨 농민 전쟁이다. 민중의 자각과 정치에 대한 불신이 뒤엉킨 전환기에 서학을 능가하는 동학이 1860년도에 창도되었는데, 이 동학은 토속 신앙을 그 바탕.. 역사 ,세계사/옛 우리 이야기 2013.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