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oynich manuscript[1]
그 이름은 이 책의 소유자 중 한 사람이었던, 미국인 서적상인 윌프레드 M. 보이니치(Wilfrid M. Voynich)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발견되었을 당시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전문 및 비전문 암호학자들이 미친듯이 매달렸으나 아무도 그 내용을 풀지 못한 수수께끼의 문서. 암호학 역사의 성배.
정체불명의 문자로 쓰여져 있으며, 어느 언어를 적은 것인지도 불명. 삽화로 미루어 보았을 때에는 약학부터 식물학, 생물학, 천문학과 같은 광범위한 학문에 관하여 씌여진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한 첩당 16쪽으로 총 17첩, 272쪽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240여쪽만이 남아 있다.
2 수수께끼 ¶
아무런 교차 검증이 불가능하기에 아래 문단의 '그냥 낙서 아니냐'는 주장까지 있는 상황이지만, 막 쓴 낙서장으로 보기에는 하나의 일관된 언어같은 특징을 많이 지니고 있다. 예를 들자면…
- 단어에는 반드시 등장해야 하는 일정한 몇몇 글자가 있다.(모음처럼)
- 어떤 글자는 다른 글자와 연속해서 쓰이지 않았으며(영어에서 fg나 rx같이 쓸 수 없는 것처럼)어떤 글자는 중복해서 쓰였으나 다른 것은 그렇지 못했다.('attack'과 같이 tt는 쓸 수 있지만 qq는 쓸 수 없는 것처럼)
- 어떤 단어는 일부 섹션이나 몇 장에만 등장하는 데 비해 다른 단어는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더 희한한 것은 이 '언어'가 인도유럽어족의 보편적인 특징에서 심히 벗어나 있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자면…
- 10글자가 넘어가는 단어는 거의 없다시피 한 반면에 1~2글자의 단어의 수도 적다.(영어에 a나 to같은 단어가 얼마나 자주 나오는지 생각해보자.)
- 어떤 글자는 단어 앞에만 나오고, 다른 글자는 끝에, 혹은 중간에만 나오는 경우가 있다. 라틴 문자나 그리스 문자에는 이런 현상이 없다시피 하다. 이러한 양태는 오히려 히브리어 문자 같은 셈족 언어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셈족 문자로 보기도 힘든 것이, 셈족 언어의 대부분은 좌서문자이고 보이니치 문서는 우서문자(인 것으로 보인)다.
- 같은 단어가 한 문장에 여러번 나오는가 하면 한 글자만 다른 여러 단어가 비정상적으로 반복해서 나오기도 한다.
또 천문학을 다루는 항목에 3월부터 12월까지를 라틴 문자로 적어놓은 부분도 있는데 그 철자법은 중세의 프랑스나 북서부 이탈리아, 이베리아 반도의 철자법을 연상시킨다. 하지만 이것도 원래부터 적혀있던 건지 후일에 적힌 것인지는 불분명.
3 실제 사용되던 언어가 아니다? ¶
워낙 미스터리하다보니 현대인이 위조했다거나 우리가 모르는 사라진 문명의 언어라거나 하는 설까지 나왔지만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법으로 밝혀진 이 사본의 제작시기는 1404~1438년이다. 그러므로 고대 미지의 문자나 현대인이 위조한 것일 확률은 적다.
아무도 이 문서를 해독하지 못하고, 역사적인 외부 기록도 없고, 기기묘묘한 식물의 삽화 등 수상쩍은 부분이 많다 보니 이건 아예 아무런 의미도 없는 낚시 문서라는 설도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모종의 목적으로 암호화된 문서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그러나 그렇다면,「이 책의 저자는 어떻게 600년 전에 현대에 와서야 정교한 분석을 통해 연구될 만한 이런 세심한 알고리즘을 사용해 한 문자를 암호화했는가?」라는 문제 또한 제기된다.
4 아나그램일 가능성? ¶
5 이것저것 ¶
2009년 7월 12일, 신비한TV 서프라이즈에서 다루어진 바 있다.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가 기묘한 것들을 수집하는 취미가 있는 것을 이용해서, 아무 내용이나 신기해 보이는 그림이나 글자를 써서 상금을 타먹은 사기꾼이 만든 것이 아니였을까 하는 가설을 소개하였다.[3]
또한 이 책을 소재로 한 소설책도 존재한다.(엔리케 호벤, '보이니치 코드')
네크로노미콘 등과 함께 환상문학 등등에서 떡밥으로 나오기도 한다. 종종 마도서로 등장하기도 하며, 아예 암호화된 네크로노미콘이라는 설정도 있다는 모양. 단, 네크로노미콘 등과는 달리, 이쪽은 실제로 현실에 존재하는 문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