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우리나라 역사 정보 - 정유재란 당시 왜군들의 "식인행각" [공지] 짤방글, 음란물, 악성코드글, 혐오사진, 도배, 개인상품 판매글, 사진 없는 글, 동영상글, 기사전문 글 등의 공지사항 위반시 처벌될 수 있으니 게시판 이용 전에 꼭 공지사항을 읽어주세요.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임진왜란의 반역자중에 성세응라는 인물에 대해서 전공조참의(前工曹參議) 성세응(成世應) 조선시대 임진왜란 시대에 일본군에 빌붙은사람들 가운데 전현직 관리중에 유일한 인물이 성세응이다. 공식적인 기록에 의하면 말이다. 인터넷 조선왕조실록엔 예전에는 성세응이라는 인물에 대해서 기록이 나왔지만, 요새는 무슨 이유인지 나..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펌글...조총에 대해서... 조총[鳥銃] 본문 전통 무기의 화약무기류 중 하나. 조총은 유럽에서 전래되었으며 탄약을 총신 끝에서 넣는 전장식 화승총이다. 이름은 “하늘을 날으는 새를 쏘아 맞혀서 떨어뜨릴 수 있다(能中飛鳥)”는 의미에서 유래되었다. 전체길이는 약95~200cm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120~130cm 정도..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임진왜란 - 경주 안강 전투(1593 년 8월 6일) 1593년 일본군 92000명은 6월 29일에 진주성을 함락시키고, 전라남도 곡성과 구례 지역까지 들어가 약탈을 한 후에 그들의 본거지인 경상도 연안으로 철수하였다. 진주성 뿐만 아니라 전라도를 점령하라는 도요토미의 명령에 일본군은 진주성을 간신히 함락시킨 후 전라도는 점령하지 못하..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직산전투의 허구성과 명량해전의 중요성. 김경진 안병도 윤민혁 공저인 임진왜란 정유년편에서 보면 직산전투와 명량해전을 전후하여 (사관들이라고 자칭하는) 작가들이 설명하는 글들을 유심히 보았고, 다시 인터넷으로 조선왕조실록을 보았습니다. 거의 대부분이 사관들이 설명하는 부분과 조선왕조실록에서 보았던 내용과 ..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조선에 주둔한 명군에 대해서... 평양에 있던 선조 일행은 일본군의 공격으로 의주로 피난갔고, 그 과정에서 일본군은 평양성을 점령했다. 당시 일본군이 전투로 인해서 생긴 피로를 확 풀고 재정비하고 다시 조선선조 국왕을 추격했다면, 역사는 달라지지 않았을까라고 이상하게 오해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임진왜란때 초반에 무너지게 된 이유. ( 조선쪽의 원인으로) 우리들의 인식에는 한국이 외국과 싸우면 무조건 진다는 이상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편견을 가지게 된 것은 아무래도 현재의 역사교육이 한몫했다고 본다. 그럼, 어디에서 시작했다고 볼까...? 물론, 조선시대다. 그 이전시대 아니 조선중기만 해도,한국은 약소국이라는 냄새가 풍..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충장공 도원수 권율...전쟁 소강상태 시기의 활동(2) 권율은 도원수로 임명받은 시기는 전쟁이 소강상태이므로 직접적인 대규모 전투는 없지만,일본군이 장기간 남해안으로 주둔한 상태이므로 위험 천만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그는 적군의 재침에 대비하여 많은 것을 실시하였다. 한산도에 있는 조선 수군으로 하여금 견내량(거제도와 한산..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충장공 도원수 권율의 기본 전략 1. 호남방어 전략. 도원수 권율이 1593년 6월말에 진주성이 위급에 빠졌을 때도 구원하지 않고 전라도 방면으로 철수한 이유는 진주를 구원하기 보다는 주위의 요해처를 지켜 호남을 보존하고자 했다. 질 것이 뻔한 싸움에 희생되는 것보다 나라의 근본이 되는 호남을 지키는 것이 더 현명.. 전쟁...../임진왜란 2012.10.07
[스크랩] 충장공 도원수 권율...(1) 우리들의 머리 속에는 임진왜란하면, 육지에서는 권율, 바다에서는 이순신이라는 알게 모르는 공식이 있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이순신에 대해서 어느 정도 파악을 했으면서도, 권율에 대해서 자세히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그저 행주대첩만 생각했지, 그분이 왜란때 어떻께 활약했는지.. 전쟁...../임진왜란 2012.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