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시대에는 온갖 일들이 다 발생했다. 국민당정부 "신강성은행"은 1949년 5월 10일에 "육십억원(陸拾億元)"짜리 액면가액의 지폐를 발행하니, 세계역사상 최고액권이라고 할 만하다.
신강(新疆)은 청나라이래로 홍전(紅錢, 구리)과 은고(銀橭, 은)가 통용되었는데, 나중에 다시 이 두 가지 금속화폐를 대표하는 지폐를 발행하게 된다. 신해혁명이후 신강에서 지폐를 발행하는 기구는 신강번고(新疆藩庫), 신강재정사(新疆財政司)였다. 민국초기, 신강은 번고의 관표(官票)를 발행하는데, 액면가격이 400문(文)이었는데, 은(銀) 1 고(橭)의 가치를 지녔다.
1928년 신강에서 정변이 발생하여, 민국초기에 신강을 17년간이나 통치하던 양증신(楊增新)이 당시 군무청장, 외교서장인 번요남(樊耀南) 일파에게 암살당한다. 그러나, 정변후 얼마 지나지 않아, 군대를 장악하고 있던 김수인(金樹仁)이 부대를 이끌고 번요남을 토벌하는데 성공하여, 신강의 통치자가 된다. 김수인이 등장한 후 다시 은고표를 발행한다. 1933년에는 성세재(盛世才)가 신강의 정권을 장악한다. 그 후 군벌내전으로 인하여 날로 심각해지는 통화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신강성은행을 신강상업은행으로 개조한다.
성세재는 항상 스스로를 '신강왕'이라고 자처했고, 유아독존격이었다. 그는 신강정부와 공산당, 국민당을 합쳐서 "중국3대정치집단"이라고 부르곤 했다. 또한 국공양당이외의 "제3의 지도자"라고 자처했따. 또한 광오하게도 자신을 스탈린, 루스벨트, 처칠, 장개석, 모택동과 함께 "세계반파시스트진영의 6대지도자"라고 칭하기도 했다. 신강은 소련과 거리가 지척이어서, 성세재는 자신의 통치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소련과 한때는 밀월관계를 유지한다.
당시 성세재는 공산당에 잘보이고자, 중공당원을 신강에 불러서 정무에 참여하게 하기도 했다. 중공당원이 신강에 가서 업무를 하게 된 것은 1936년 성세재가 신강을 거쳐 모스크바로 가던 주은래에게 부탁한 후 이루어진 것이다. 중공중앙은 국제노선을 열여, 소련의 원조를 받기 위하여, 성세재를 지지했다. 1936년말, 중공은 간부들을 신강에 파견한다. 공산당원 맹일명(孟一鳴)은 교육청장 겸 신강학원원장이 된다. 공산당원 임기로(林基路)는 신강학원 교무장을 겸임한다. 1937년 4월, 진운(陳雲)은 중국공산당 신강주재 제1기 대표가 되어, 성세재에 대한 통일전선업무를 책임진다. 이는 중국공산당과 성세재간의 통일전선이 건립되었음을 보여준다. 1938년 1월, 중공중앙 정치국위원인 등발(鄧發)이 중공신강주재대표가 된다. 1년후, 소련에서 귀국하던 진담추(陳淡秋)가 등발을 대체하여 중공신강주재대표를 맡는다.
1938년초, 중공중앙은 모택민(毛澤民)을 신강에 보낸다. 그는 신강성 재정청 청장, 민정청 대리청장등의 요직을 맡는다. 성세재의 요청에 따라, 중공중앙은 연안에서 다시 간부들을 뽑아서, 1938년에 3차에 나누어 신강에 들여보낸다. 중국공산당의 대량의 간부들이 신강으로 가서 일한다. 신강의 정치, 경제, 문화사업의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성세재는 모택민에게 신강성은행 이사장을 맡긴다. 1939년 1월 1일, 모택민은 신강성은행을 신강상업은행으로 개조하고, 화폐재도를 개혁하고 화폐단위를 고(橭)에서 원(元)으로 바꾼다.
1941년가을이후, 교활하고, 잔혹하며, 변신을 잘하고, 반복무상한 성세재는 다시 장개석에 의탁한다. 1943년에는 진담추, 모택민등 공산당원들을 죽여서, 장개석에게 충성을 표시한다.
모택민이 희생된 후, 그가 신강에서 추진하던 화폐개혁은 자연히 중단된다. 신강의 화폐발행은 이후 국민당요원의 간섭하에 통제불능상태가 되어버린다.
국민당은 신강에서 병력이 크지 않을 때, 성세재를 적극 끌어들였다. 그러나, 국민당의 도치악(陶峙岳) 병단의 3개사단이 모두 적화(迪化, 지금의 우룸치)에 진입한 후, 장개석의 성세재에 대한 태도는 돌변한다. 성세재는 국민당에 의탁하는 것이 '늑대를 집으로 끌어들이는 것'이라는 것을 생각지 못했다. 이때부터 성세재는 다시 조치를 취하여, 국민당세력을 신강에서 몰아내고자 준비한다. 그러나 이미 때는 늦었다. 1944년 8월 11일, 성세재는 국민당 신강성당부조직의 서기장 황여금, 건설청장 임계용등을 체포하는 '811황림사건"을 일으킨다. 일시에 전체 적화는 공포분위기에 휩싸인다. 퇴로를 마련하기 위하여 성세재는 다시 소련에 의탁한다. 그는 스탈린에 전보를 보내어 다시 소련공산당에 가입하고 신강을 소련의 한 공화국으로 가맹하게 해달라고 요청한다. 그러나 이때 소련정부는 이미 성세재에 철저히 실망한 상태였따. 스탈린은 그의 요구를 거절하고, 그 전보를 장개석에게 보내준다.
1948년 국민당은 군사적으로 실패하고, 경제는 파탄이 나서, 물가가 폭등하고, 화폐는 평가절하된다. 신강상업은행은 다시 신강성은행으로 개조된다. 화폐액면가격은 갈수록 올라갔다. 최소금액이 1푼(分)에서 발행액면금액이 6억, 30억짜리까지인 지폐까지 나온다. 결국은 최대액면가인 60억원짜리 지폐까지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는 고금에 유례가 없는 일이다. 세계화폐역사상 하나의 웃음거리가 된다. 이 60억원짜리 화폐에는 "절합금원권일만원(折合金圓券壹萬元)"(금원권 화폐로 환산하면 1만원)이라는 문구가 추가되어 있다. 1개의 화폐에 두가지 액면가를 적은 것도 중국화폐역사상 보기 드문 경우이다.
더욱 웃기는 일은, 이 60억원짜리 고액지폐가 당시에는 겨우 100분의 1 은원(銀元)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즉, 당시 상해의 쌀 1석의 가격이 금원권 4.4억원으로 환산하여 계산해보면, 이 60억원 지폐로 겨우 쌀을 낱개로 88개 살 수 있었다는 말이 된다.
'역사 ,세계사 > 중국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지막 황비(皇妃)의 이혼기 (0) | 2013.08.23 |
---|---|
제1차세계대전과 중국노동자군단 (0) | 2013.08.23 |
단발(剪辮): 혁명의 상징 (0) | 2013.08.23 |
흑룡회(黑龍會): 폭력과 음모의 상징 (0) | 2013.08.23 |
국민당은 왜 남경을 수도로 정했는가? (0) | 201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