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1 코브라는 본격적인 공격용 헬리콥터로서는 처음으로 등장한 기체로서, 미육군형이 휴이 코브라,
(맥나마라국방장관)
해병대용이 시코브라로 불리며 케네디 정권하의 맥나마라 국방장관은 1962년 지상전에 혁명적인
변혁을 가져오기 위하여 공중기동에 의한 전투속도의 개혁을 추진합니다.
지상전투에 있어서 본질은 병력×속도로서, 공중을 고속으로 기동하는 발상은 맥나마라 특유의 탁월한 식견의 결과였습니다.
(ah-1g)
최초모델은 AH-1G로서, 1967년 후반부터 베트남전에 투입되어 위력을 발휘하였으며
(uh-1h)
AH-1은 UH-1의 많은 부품을 이용하고 있지만 폭이 91Cm로 아주 좁게 만들어진 동체에 파일럿과
(ah-1g)
사수를 탠덤식으로 배치하는 전형적인 공격헬기의 형태를 확립시킵니다.
무장은 기수 하부에 전용 터렛이 설치되어 7.62mm 미니건이나 40mm 유탄발사기등 4종류의 무장을
선택하여 탑재할 수 있으며 스터브 윙에는 좌우 하드 포인트가 각 2개소가 있어서
(ah-1s)
19발의 2.75인치 로켓탄 포드나 20mm 기관포등을 장착합니다.
베트남전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AH-1G는 유럽의 바르샤바 조약군에 대항하기 위한 유력한 기체로
인정되었고 이에 개량형인 AH-1S가 등장하게 됩니다.
미육군의 코브라는 AH-1G->AH-1Q->AH-1S->AH-1P->AH-1E->AH-1F 로 진화하였습니다.
원래 S 형이라는 것이 개량형이 많습니다. 그래서 나중에 P,E,F 로 세분화 한것입니다.
제일 최신의 육군형 코브라가 F 형입니다. 각각의 특징이 있습니다만, 화기 관제와
야간 작전 운영 능력의 여부에 따라서 변형이 나타 납니다.
보통 미 육군에서도 AH-1S 는 AH-1Q 에서 개조된 기체를 말하고 신 발주된 기체는
AH-1P,AH-1E,AH-1F 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습니다.
( AH-1j)
AH-1S는 엔진을 강화하고 본격적인 대전차 헬리콥터로 만든 기체로서, 기수 글래스는 평면형태로 변경되었고,
지형추적비행에 적합하도록 계기판도 개량되었으며 APR-39 레이더 경보장치, 신형 항법장치, 엔진과
변속기가 개량되었고 M61 발칸포에서 파생한 3총신 기관포를 탑재됩니다.
이 기관포는 분당 750발, 좌우 각110도, 위로 20.5도, 아래로 50.5도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ah-1f)
이후 S형을 더욱 개량한 AH-1F형이 1988년에 등장했으며 신형 사격통제장치를 도입하여
레이저 거리 측정기, 조종사용 HUD등이 신설되었으며 신형 에어필터, 레이저 경보장치,
야간공격용 장비등도 일부 기체에 적용되었습니다.
기본무장으로 토우 8발, 2.75인치 로켓포드, 20mm 발칸포 등을 탑재하며 지상지원은 물론 대전차 공격을 주임무로 하고 있습니다.
AH-1J는 정찰과 수송헬기 호위, 상륙지점에 대한 사전제압 공격을 주임무로 하였지만
1976년 엔진을 강화하고 토우 대전차 미사일 운용능력이 부여된 본격 대전차 공격헬기로 개발된
(이스라엘 군용 ah-1t)
AH-1T를 거쳐 1983년부터「수퍼 코브라」로 불리는 AH-1W로 발전합니다.
(ah-1w)
AH-1S 코브라 공격헬기
순항속도:220/H
항속거리:361 km
체공시간:2.3hrs
승무원 : 2
무장:대전차 토우 8발,2.75인치로켓 38발,20미리 건 등
야전배치:1988년
제작사:미국 벨사
가격:110억원
사통장비:레이저거리측정기,조종사용hud,c-nite등
AH-64
AH-64아파치는 1970년대 그위협을 증대해시켰던 소련을 중심으로한 바르샤바조약기구군의 대기갑부대에
(T-72 계열의 T-80 전찰로 T-72 계열은 11,000대를 보유 중입니다.)
대처하기위하여 미육군은 베트남전쟁의 전훈을 살린 공격헬기개발사업팀을 발족시킵니다.
그모체가된것이 1965년 AAFSS(신형항공화력지원시스템)구상으로 이를발전시켜
1972년에 AAH(Advanced. Attack Helicopter)선진공격헬기 개발계획이 정식으로 개시되며
AAH계획에참가한것은 보잉, 록히드, 시콜스키사, 휴즈사, 벨의 5개사로 국방성및 미육군은 벨과
휴즈사의 설계안을 채용하여 벨사의 AAH설계안을 YAH-63A,
(yah-63)
휴즈사의 YAH-64A의 명칭이 각기주어져 시작기개발을 시작되었다. 1975년까지는 양사의 원형시작기는
(yah-64)
첫비행을 성공시켰고 1976년 6월부터 육군에서 본격적인 평가시험이행해진결과
1976년12월10일 휴즈사의 YAH-64A가 채용됩니다.
제식채용된 휴즈사의 YAH-64는 AH-64라는 제식명칭이 부여되었고 1984년 1월26일에 양산1호기가
(ah-64)
육군에 인도되었으며 양산 14호기부터 부대배치가 시작됩니다.
휴즈사는 그후 1984년에 맥도널드 더글라스사 산하에들어갔고 맥도널드사는
1997년에 보잉사에 합병되어 현재 보잉AH-64아파치로 거듭납니다.
현재는 롱보우 밀리미터파레이더를 탑재한 최신형AH-64D롱보우아파치와 레이더를 탑재하지않는
AH-64D형아파치, 구식화하여 D형으로개수한 A형이 존재하고 2003년부터 D형아파치 롱보우의
발전형블록2 시리즈의 배치되고 있습니다..
아파치시리즈는 미육군이외에도 채용되어 D형 롱보우아파치를 채용한 나라는
(이스라엘의 AH-64d)
이스라엘(18기), 영국(67기. 명칭 WAH-64D), 싱가폴(8기), 네델란드(30기),
(그리스의 AH-64a)
A형아파치는 사우디아라비아(12기), 이집트(36기), UAE(30기), 그리스(20기)를 보유하고있습니다.
A형에서 D형으로 개수예정인것이 UAE의 30기로 그리스12기, 쿠웨이트16기(일부사양이다름)의 도입을결정하고 부대배치하고있습니다.
(도입되어 정식 발표를 기다리는 일본의 AH-64dj 공급가액 60억액)
일본도 2001년 8월27일 육상자위대가 현보유중인 AH-1S의후계기인 차기공격헬기로 AH-64D아파치롱보우를
선정채용하여 중기방위정비계획(2005~09년도)기간중에 10기를도입하고 최종적으로 60기의 도입 예정입니다.
AH-64A아파치
(이스라엘의 AH-64a형)
AH-64아파치개발은 바르샤바조약기구군의 대기갑부대를 격파시킬수있는 대전차병기탑재능력과
구소련의 아프가니스탄침공시 노출된 헬기생존성을 철저히개선과 야간전투능력부여와 이에따른
고기동성의확보를 목표로 하여 개발된 기체 입니다.
베트남전쟁에서는 비교적높은 고도를비행하는헬기(수송용)가 구소련제보병용휴대식대공미사일
sa-7의 좋은 목표가되어 전쟁기간중 약5000기의 헬기를 손실을 입었고 이에따라 공격헬기에는
종심저공침투능력에 중점이두어져 LLF(Low Level Flight)CF(Contour Flight)지형추적비행
NOE(Nap of the Earth)초저공비행이 가능할것과 헬기와의 공중전이가능한 운동성능을 가질것이요구되었습니다.
이러한점들로부터 도입한 AH-64A는 압도적인 병장과 양호한생존성의추구, 고기동성에의해
구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운용한 헬기의 계념과는 현저한차이를보여주며 대전차공격헬기의 지위를 확립시켜나갑니다.
(AH-1g 시제기)
실질적으로 육군,해병대에서 채용한 AH-1G(휴이코브라)의 후계기로 자리매김하고있지만
베트남전쟁중의 필요성에밀려 설계된 AH-1G와는달리 처음부터 공격헬기로 설계된것이 AH-64아파치로
(야간의 작전운영을 위한 디스플레이)
결정적인차이는 AH-64A아파치의 전천후.야간저공침투능력에있습니다.
아파치는 1991년1월걸프전에 288기가 투입되어 전투벽두에 이라크.쿠웨이트국경서쪽의
지상레이더시설을파괴 미기갑부대의 회랑을확보하였고 이라크군주력전차(T-72,T-64)와
그외의 장궤식차량500량이상, 장륜차량300량이상,공격.수송헬기12기,고정익기10기,
최우선파괴목표진지65개소를 파괴하는 대전과를올려 최강헬기로서의 면모를보여주었습니다.
걸프전을통해 공격헬기의 높은유용성이 실전에서증명되었으며 그것은 미육군에서 전쟁전부터
검토되고있던 AH-64A아파치의 발전형의 개발.개량을 추진하게되는 계기가됩니다.
걸프전후 미국방성및 미육군은 AH-1A아파치의능력향상 프로젝트에 착수하였는데
그목적은 걸프전에서 표면화된 우군간교전및 오사를 방지할것과 공동교전능력을 부여하여
효율적인공격에의한 한층강화된 전투능력을 향상에있었습니다.
미육군은 AH-64A아파치에 공동교전능력을 갖추게하기위하여 대용량.고속통신이가능한
디지털통신시스템SINCGARS(Single Channel Ground & Airborne Radio System)단일채널.
지상/공중통신장치를 탑재하였고 디지털암호화한 음성과 지도.문자정보가 VHF의 주파수 호핑모드로
(개수된 조종석)
송수신되면서 그에따른 콕피트의 표시디스플레이를 개수하였습니다.
SINCGARS의 탑재에의해 동일시스템을 탑재하는 다른병종과의 정보교환이 긴밀하게됨으로써
우군부대의 상세한정보와 공격목표선별이 용이하게되었는데 이는 걸프전에서의 전훈을 잘살린것입니다.
이개량형은 AH-64B형으로 호칭되었으나 실험기로서의 특색이강해 이후 각종애비오닉스를
강화한 AH-64C형과 단독전투능력을특화한 롱보우레이더탑재 AH-64D형 개발의 기본이됩니다.
AH-64D 롱보우아파치
AH-64A아파치에서 C형,D형으로의 개수는 대규모이면서 다양한개수가 실시되어 C형에 각종 애비오닉스와
엔진,2세대 헬파이어대전차미사일탑재가 이루어졌고 D형에는 록히드마틴사제 롱보우 밀리파레이다가 장비되어
AH-64D롱보우아파치라고 불리우는 계기를 마련해 줍니다.
C형도 롱보우밀리파레이더를 탑재가능하기에 뒤에 AH-64D형으로 변경되었고 이사양은 AH-64D아파치라고 불립니다.
AH-64D롱보우아파치는 AH-64아파치시리즈의 최신형으로 메인로터 마스트위에
AN/APG-78롱보우 밀리파레이더를 장비하고있어 256개의 목표를 동시에탐지하여 목표식별과
위협도를 판정. 공격최우선순위의 판정이 그자리에서 이루어지게 만듭니다.
이러한 전술정보는 SINCGARS에의해 다른 동일시스템탑재부대등에 송신되게되고
또한 상급사령부가 외부센서로부터얻은 각종정보를 공유할수있어 효율적인공격이 이루어지며
부대간의긴밀한 작전연대가 가능하게끕 만들어 줍니다.
AH-64A형아파치에서는 세미엑티브유도방식의 AGM-114A헬파이어가 사용되어 목표공격에
레이져를조사하여 유도하지않으면 안되는결점이있어 공격헬기로써 가장위험한위치에 처해지게되고
또한 레이져유도방식은 악천후나 모래먼지에영향받기쉬운점이있었지만 AH-64D롱보우아파치에선
fire & forget 의 완벽한 자체 유도가 가능한 만능 공대지 미사일로 재 탄생 하였습니다.
'전쟁..... > 무기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류탄 (0) | 2013.03.10 |
---|---|
구 일본군의 대전차 총검술 (0) | 2013.03.10 |
열압력 로켓 (0) | 2013.03.10 |
모스버그 M500/M590/정글건 (0) | 2013.03.10 |
BENELLI M3 super 90 (0) | 2013.03.10 |